Menu

"독서(讀書)"의 글 태그

讀書不破費 讀書萬倍利. 書顯官人才 書添君子智.
책을 읽는 데에는 비용이 들지 않고, 책을 읽으면 만 배의 이익이 생긴다. 글은 벼슬하는 사람의 재주를 드러내 주고, 글은 군자의 지혜를 더해 둔다.

독서명언

富家不用買良田 書中自有千鍾粟. 安居不用架高堂 書中自有黃金屋.
집안을 부유하게 하는데 좋은 밭을 사지 마라. 책 속에 천 종의 곡식이 있다. 편안히 거처하려고 높은 집을 짓지 마라. 책 속에 황금 집이 있다.

손글씨pdf

‘책을 읽어 옛 현인(賢人)들과 벗이 되다.’라는 뜻으로, 독서를 통해 옛 현인들과 벗함으로써 훌륭해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말이다.
이 고사는 맹자 만장장구하편에 보인다. 맹자께서 만장에게 말씀하셨다.
“한 고을의 훌륭한 선비라야 한 고을의 훌륭한 선비와 벗할 수 있고, 한 나라의 훌륭한 선비라야 한 나라의 훌륭한 선비와 벗할 수 있으며, 천하의 훌륭한 선비라야 천하의 훌륭한 선비와 벗할 수 있네.斯友一鄕之善士, 一國之善士, 斯友一國之善士, 天下之善士, 斯友天下之善士. 천하의 훌륭한 선비와 벗하는 것으로도 만족하지 못해서 또다시 위로 올라가 옛사람을 논하여 옛사람에게서 취하니, 옛사람의 시(詩)를 외우며 옛사람의 글을 읽으면서도, 그의 사람됨을 알지 못한다면 되겠는가? 이 때문에 그들이 살았던 시대에 행한 일의 자취를 논하는 것이니, 이는 위로 올라가서 옛사람을 벗하는[尙友] 것이네.以友天下之善士, 爲未足, 又尙論古之人, 頌其詩, 讀其書, 不知其人, 可乎. 是以, 論其世也, 是尙友也.”

훌륭한 사람과 벗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먼저 훌륭해져야 할 것이다. 그 비결은 바로 독서를 통해 동서고금의 현인들을 만나 그들을 벗 삼는 것 만한 것이 없겠다.

맑은 날은 밭을 갈고, 비가 오는 날에는 책을 읽는다. 부지런히 일하면서 틈나는 대로 공부(工夫)함을 이르는 말.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숙부와 함께 지내게 된 제갈량(제갈공명)은 숙부마저 전쟁으로 세상을 떠난 후 융중이라는 곳에 거주하며 청경우독(晴耕雨讀)하였다 한다. 당시 후한 말기 어지러운 정세 속에서도 제갈량의 그 오랜 우독(雨讀)의 세월은 유비와 함께 천하삼분지계를 실현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책을 읽는 데는 눈으로 보고(眼到), 입으로 읽고(口到), 마음으로 이해해야 한다(心到).

책을 읽을 때는 주위 환경에 휘둘리지 말고 정신을 집중하라는 말로, 삼도란 심도(心到), 안도(眼到), 구도(口到)를 가리킨다. 마음과 눈과 입을 함께 기울여 책을 읽으라는 것이다. 독서삼매(讀書三昧)라고도 한다.
본래 삼매(三昧)란 불교에 있어서의 수행법으로,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켜 감각적 자극이나 그 자극에 대한 일상적 반응을 초월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삼매에 빠지면 옆에서 벼락이 쳐도 모르는 것이다. 삼도(三到)도 그런 경지를 의미한다. 책을 읽는, 즉 독서하는 마음가짐을 강조한 말이 이 독서삼도이다.

– 두산백과

글을 백번을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나타남. 뜻이 어려운 글도 자꾸 되풀이하여 읽으면 그 뜻을 스스로 깨우쳐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말 동우라는 사람은 집안이 매우 가난하였으나, 일을 하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으며(手不釋卷) 부지런히 공부하여 임금님의 글공부를 돕는 황문시랑(黃門侍郞)이란 벼슬에 올랐다. 동우의 명성이 널리 퍼지자 각처에서 그 학덕을 흠모하여 동우에게 제자 되기를 청했다. 그러자 동우는 “나에게 배우기보다 그대 혼자 책을 몇 번이고 자꾸 읽어 보게. 그러면 저절로 그 뜻을 알게 될 걸세.” 하고 넌지시 거절하였다. 이에 그 제자가 “책을 읽고 싶어도 시간이 많이 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니 동우가 다시 “마땅히 삼여로써 책을 읽어야 하네(讀書三餘). 삼여(三餘)란 겨울과 밤, 그리고 비가 올 때라네.”며 일러주었다고 한다.

– 삼국지

“재주가 남만 못하다고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었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데 달려 있을 뿐이다(無以才不猶, 人自畫也. 莫魯於我, 終亦有成. 在勉强而已).”

– 김득신묘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