謀事在人 成事在天은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이나 그것이 이루어지느냐는 하늘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최선을 다한 후에는 그 결과에 크게 연연해 하지 말라는 말이다. 촉나라의 제갈량이 출사표를 던지고 위나라를 공격할 때의 일이다. 제갈량은 계책을 써서 위나라의 사마의를 계곡(호로곡)으로 유인하였다. 계곡에는 화약을 잔뜩 묻어 놓고 화공을 준비한 상황이었다. 사마의는 40만 위군을 거느리고 호로곡에 깊숙이 들어온 다음에야 자신이 제갈량에게 속았다는 […]
『한자&한문』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의 모순…”저임금 근로자, 근무시간·월급 줄었다”(종합). 아시아경제. 2018.12.14 모순 한자의 뜻은 창과 방패입니다. 모순의 속뜻을 제대로 알려면 고사를 함께 알아야 합니다. 옛날 중국 초나라에 방패와 창을 파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자신이 파는 물건을 자랑하며 말했다. “이 방패는 아무리 강하고 예리한 창도 절대 뚫을 수 없다. 그리고 이 창의 날카로움은 어떤 방패든지 뚫지 못하는 것이 없다.” […]
1. 모양(模樣)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 또는 모양을 본떠서 만든 물건(物件). 모형 항공기(航空機) 대회(大會)에 참가(參加)하였다.
1. 제목(題目)이나 물건(物件)의 이름 등을 차례(次例)로 기록(記錄)함. 내가 읽고 싶은 책의 목록을 작성하여 필요(必要)한 책을 주문하였다.
渴時一滴如甘露, 醉後添盃不如無. 목마를 때 한방울의 물은 단 이슬과 같고, 술 취한 후에 잔을 더하는 것은 안하는 것만 못하다.
1. 나무로 된 재료(材料). 한옥(韓屋)은 아름답고 살기에 편리(便利)한 목재 건축물(建築物)입니다.
조선왕조의 건국은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실현되었지만 그 터전은 목조 이안사에 의해서 이룩되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안사는 태조 이성계의 고조(高祖), 곧 이성계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입니다. 원래 전라도 전주에 살았는데 그 고을의 수령이 이안사가 사랑하는 기생과 관계하자 싸움이 벌어졌고, 전주의 지주(知州;주의 장관)는 고을 수령과 한편이 되어 조정에 보고하는 한편 군사를 동원하여 그를 해치려 합니다. 이 정보를 […]
사람들이 스스로 행복감(幸福感)을 맛보는 순간(瞬間)은 어떤 일에 집중(集中)하여 내가 나임을 잊어버리는 시간(時間)이다.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身未遇而勿望, 事已過而勿思. 聰明多暗昧, 計算失便宜. 몸이 아직 때를 만나지 못했어도 바라지 말고, 일이 이미 지나갔거든 더이상 생각하지 말라. 총명하다해도 어둡고 우매한 구석이 많으며, 미리 계획을 했다 하더라도 편의를 잃을 수 있다.
1. 베끼듯이 그려내어 표현(表現)함. 사실(事實)에 바탕을 둔 충실(充實)한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