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갯벌 생태환경 복원에 박차를 가하다. – 머니투데이.2018.10.16 전라남도 신안군에서는 갯벌의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으로 어업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갯지렁이 방류를 통해 갯벌의 생태환경 복원에 힘쓰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 제목이다. 여기서 박차拍車란 무엇일까? 박차는 말을 탈 때에 신는 구두의 뒤축에 달려 있는 물건으로 톱니바퀴 모양의 쇠인데, 이것으로 말의 배를 차서 빨리 달리게 한다. 그러므로 ‘박차를 가加하다’는 […]
『한자&한문』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躬自厚而薄責於人이면 則遠怨矣니라. 자신을 꾸짖기는 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길 적게 하면 남의 원망이 멀어질 것이다.
薄施厚望者不報, 貴而忘賤者不久. 박하게 베풀고서는 후하게 바라는 자는 보답이 돌아오지 않고, 귀해졌다고 하여 천한 시절을 잊는 자는 오래 가지 못한다.
정자가 말씀하였다. “박학(博學)•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辨)•독행(篤行), 이 다섯 가지 중에 하나만 폐지하여도 학문(學問)이 아니다.(博學審問愼思明辨篤行五者에 廢其一이면 非學也니라.)” – 논어.위정.15장
널리 배우고博學, 자세히 물으며審問, 신중히 생각하고愼思, 명확히 분별하며明辯, 독실하게 행동한다篤行. 옛날의 학자들은 박학(博學)·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辯)·독행(篤行)을 학문을 연구하는 기본적인 자세로 강조하였다.
蹞步而不休, 跛鼈千里. 반걸음이라도 걸어서 쉬지 않으면 절뚝이 자라도 천리를 간다. 성급히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 목표한 바에 나아간다면 반드시 다다를 수 있다.
되돌려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다. 잘못의 원인을 남에게서 찾지 않고 자신에게서 찾아 고침. 군자는 허물을 자신에게서 찾고, 소인은 허물을 남에게서 찾는다.(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 맹자 위 맹자의 말에서 허물을 자신에게서 구한다는 ‘반구저기’가 나왔는데, 하(夏)나라 백계(伯啓)의 고사에서 기원한 말이라고 한다. 중국 하나라 우(禹)임금 때, 제후 중 한명인 유호씨(有扈氏)가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왔다. 우임금은 아들 백계를 보내 유호씨의 공격을 막게 […]
1. 처음으로 되돌아가 같은 일을 되풀이함. 매일(每日)같이 반복되는 단조(單調)로운 생활(生活)을 벗어나고 싶다.
송宋나라의 태조(조광윤)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송나라를 건국한 조보(趙普)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어릴 때부터 전쟁터에 나가느라 학문에 밝지 않음을 염려하여 퇴근한 뒤에는 책을 열심히 읽었다고 한다. 하지만 태조가 죽고 그의 동생 태종(조광의)이 즉위한 뒤에 재상이 되자, 여러 사람들이 조보의 학식 없음을 말하며 시기하였다. 태종이 이에 대해 조보에게 묻자, 그는 변명하거나 쓸데없는 허세를 부리지 않고 솔직히 대답하였다. […]
1. 되돌리어 쏨. 모든 사물(事物)은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그 색(色)을 구별(區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