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아이를 돌보고 기름. 맞벌이 부모(父母)의 아이를 위한 보육 교실(敎室)이 학교(學校)에도 생겼다.
『한자&한문』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1. 보호(保護)해서 남아 있게 함. 우리의 문화유산(文化遺産)을 잘 보존하여 후대(後代)에 물려주어야 한다.
福生於無爲, 而患生於多欲. 복은 인위적인 것이 없는데서 생기고, 근심은 욕심이 많은데서 생긴다.
1. 물체(物體)로부터 열이나 전기(電氣)가 바퀴살처럼 사방(四方)으로 쏘아 퍼짐. 전구(電球)나 난로(煖爐)의 열은 복사의 방식(方式)으로 전달(傳達)된다.
1. 기본(基本)이 되는 몸체. 사무실(事務室) 컴퓨터의 본체가 고장(故障)이 나서 사용(使用) 할 수 없다.
春蠶到死絲方盡, 蠟炬成恢淚始乾 봄누에는 죽어서야 실뽑길 그치고, 초는 재가 되어야 촛물이 마른다. -이상은.무제
春雨如膏, 行人惡其泥濘, 秋月揚輝, 盜者憎其照鑑. 봄비는 기름과 같으나 행인은 그 비의 진창길을 싫어하고,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날리나 도둑은 그 달의 밝게 비침을 미워한다.
봄을 노래한 한시를 20편을 모아보았습니다. 각 각 시에 별점을 줄 수 있으니 특별히 마음에 드는 시가 있으면 별점을 주시기를 부탁드려 봅니다~ 댓글도 남겨주시면 더욱 좋겠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아래 20편으로 쓰기 노트를 만들어 쓰면서 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https://haesol-memo.com/도산월야영매陶山月夜詠梅–이황/ https://haesol-memo.com/春曉봄새벽–맹호연/ https://haesol-memo.com/鳥鳴澗–새–우는–골짜기–왕유/ https://haesol-memo.com/咏柳버드나무를–노래하다–하지장/ https://haesol-memo.com/花下醉꽃–아래–취하여–이상은/ https://haesol-memo.com/自遣홀로–가는–길–이백/ https://haesol-memo.com/稻田벼논–위장/ https://haesol-memo.com/田園樂_06전원의–즐거움–왕유/ https://haesol-memo.com/揷秧모내기–범성대/ https://haesol-memo.com/山寺산속의–절–이달/ https://haesol-memo.com/大林寺桃花대림사의–복숭아꽃–백거이/ https://haesol-memo.com/落花古調賦지는–꽃잎을–보며–백거이/ https://haesol-memo.com/絶句절구01-두보/ https://haesol-memo.com/曲江곡강02-2-두보/ https://haesol-memo.com/南園남쪽–정원–이하/ https://haesol-memo.com/淸明청명절에–두목/ https://haesol-memo.com/空山春雨圖빈–산에–내리는–봄–비–대희/ https://haesol-memo.com/探春봄을–찾아서–대익/ […]
知足者, 貧賤亦樂, 不知足者, 富貴亦憂. 족함을 아는 자는 빈천해도 또한 즐거울 것이고,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자는 부귀해도 또한 근심만한다.
1. 이치(理致)에 맞지 아니함. 부당한 대우(待遇)를 받는 외국인(外國人) 근로자(勤勞者)가 있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