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에 있는 것을 밖으로 나가게 함. 대소변(大小便)이 잘 배설되어야 건강(健康)하다.
『한자&한문』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1. 일정한 차례 또는 간격(間隔)으로 벌여 놓음. 도형(圖形)의 배열 방식(方式)을 달리하여 새로운 모양(模樣)을 만들다.
學者所患 惟有立志不誠. 才或不足 非所患也. 배우는 사람이 근심할 것은 오직 뜻을 세우는 것이 정성스럽지 않은가이다. 재주가 혹시 부족한 것은 근심할 바가 아니다.
人生不學如冥冥夜行. 사람이 태어나서 배우지 않으면 어두운 밤에 다니는 것과 같다. – 명심보감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배운 뒤에야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뒤에야 어려움을 안다. 《예기(禮記)》 학기편(學記篇) 1장. 배움은 우리 자신이 아직 부족함을 깨닫게 해 줍니다. 사람은 배움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고, 더 나은 성장을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또 가르치는 과정에서 비로소 자신의 지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알게되며 지식 전달의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와 […]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말로 ‘배우기만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는것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생각하지 않는 배움은 빈껍데기요, 배우지 않고 생각하는 것은 지식의 깊이가 없어 위태롭다는 의미이다. 요즘 사람들은 배우는 것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많은 것을 배우고 머릿속에 입력만 할 수 있다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으리라 […]
“學而不厭 誨人不倦”배움을 싫어하지 않고, 가르침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출처: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 7장. 해설 배움에 대한 열정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하며, 또한 배운 것을 남에게 가르치는 데에도 지치지 말아야 합니다. 학문에 대한 열정을 지속하며, 배운 지식을 나누는 것은 자신과 다른 사람 모두를 성장시킵니다. 오늘도 배우고, 가르치며 성장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重要)한 계획(計劃).
겉뜻 : 백락이 한번 돌아보다. 속뜻 : 재능 있는 사람도 그 재주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인정받게 됨. 진(秦)나라 목공(穆公) 때, 손양(孫陽)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말의 감정을 귀신같이 아주 잘하여 백락(伯樂)이라 불리게 되었다. 백락은 원래 천마를 관장하는 신의 이름이다. 이 백락이 명마(名馬)라고 인정하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그래서 백락이 걸음을 멈추고 고개를 돌려 눈길을 준 말(馬)은 그 […]
아주 많은 병사(兵士)로 조직(組織)된 군대(軍隊)를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