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鬼)’, ‘신(神)’은 각 각 음(陰)의 정기, 양(陽)의 정기를 가지고 있는 영(靈)을 가리킨다. ‘혼백(魂魄)’이란 말도 음양으로 구별되는 말인데 정신을 가리키는 양(陽)의 넋이 혼(魂)이고, 육체를 가리키는 음(陰)의 넋이 백(魄)이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백(魄)은 땅 속으로 들어가 ‘귀(鬼)’가 되고 혼은(魂)은 승천하여 ‘신(神)’이 된다고 한다.
‘귀(鬼)’, ‘신(神)’은 각 각 음(陰)의 정기, 양(陽)의 정기를 가지고 있는 영(靈)을 가리킨다. ‘혼백(魂魄)’이란 말도 음양으로 구별되는 말인데 정신을 가리키는 양(陽)의 넋이 혼(魂)이고, 육체를 가리키는 음(陰)의 넋이 백(魄)이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백(魄)은 땅 속으로 들어가 ‘귀(鬼)’가 되고 혼은(魂)은 승천하여 ‘신(神)’이 된다고 한다.
서랍은 ‘책상(冊床), 장롱, 화장대, 문갑(文匣) 따위에 끼웠다 빼었다 하게 만든 뚜껑이 없는 상자’라는 뜻인데 옛말은 ‘셜합’이다. 셜합은 ‘서랍’을 한자를 빌려서 쓴 말로 설은 ‘혀설(舌)’이고 합은 ‘그릇합(盒)’이니 혀처럼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그릇이라는 뜻이 된다. 우리말을 한자의 음을 빌려 썼으나 그 발상(發想)이 자못 재미있다.
黃金滿籯, 不如敎子一經. 賜子千金, 不如敎子一藝.
황금이 상자에 가득찬 것은 자식에게 한 권의 책을 가르치는 것만 못하고, 자식에게 천금을 주는 것은 자식에게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것만 못하다.
泰山不讓土壤 河海 不擇細流.
큰 산은 흙덩이도 사양하지 않고 큰 바다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는다.
成功之難如登天, 失敗之易如燒毛.
일을 이루기의 어려움은 하늘을 올라가는 것 같고, 실패하기의 쉬움은 털을 불사르는 것 같다.
방귀란 뱃속에 있는 음식물이 발효(醱酵)되면서 생기어 항문(肛門)으로 나오는 가스다. 순 우리말이 아닌 한자에서 온 단어이다.
한자어로는 ‘방기(放氣)’라고 하고 ‘기운을 놓는다.’라는 뜻이었다.
非人不忍, 不忍非人.
사람이 아니면 참지 못할 것이요, 참지 않으면 사람이 아니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