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아무 하는 일도 없이 빈둥거리며 놀거나 게으름을 부리는 사람을 건달이라고 한다.

건달(乾達)은 불교에서 음악을 맡아보는 인도 재래신(神)인 간다르바를 중국어로 표기한 건달바(乾闥婆)에서 유래한 말이다. 인도에서는 건달바가 음악을 전문(專門)으로 하는 악사나 배우를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도 한동안 같은 뜻으로 쓰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하는 일 없이 빈둥빈둥 놀거나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을 가리키는 부정적인 뜻으로 변했다. 종래(從來)에는 폭력을 휘두르며 남을 괴롭힌다는 뜻까지 갖게 되어 깡패라는 말과 비슷한 뜻으로도 쓰인다.

천하에 둘도 없는 건달이었던 감나무집 아들이 새 사람이 되었다며?
사업에 실패한 이후로 그 많던 재산 다 날리고, 겨우 하나 남은 집에 들어앉은 건달이 됐지 뭔가.

‘객’은 손님을 뜻하는 한자로 곧 제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쩍다’는 ‘수상쩍다’, ‘의심쩍다’ 할 때 쓰는 접미사(接尾辭)로 ‘~스럽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 그래서 ‘객쩍다’는 ‘나와 아무 상관도 없는 남의 일 같다’는 의미로 ‘말이나 행동이 쓸데없고 싱겁다’라는 뜻으로 쓴다. 내 일이 아닌 남의 일이나 남의 말을 하게 되니 그 일은 자연히 쓸데없고 싱거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객쩍은 공상空想
객쩍은 수작酬酌
객쩍은 소리 그만두어요. 그 따위 실없는 소리를 할 때가 아니에요. 출처 <<염상섭, 삼대>>
이러한 자지레한 문제를 가지고 우리가 객쩍게 시간을 소비하는 것을 알면…. 출처 <<박태원, 낙조>>

글자 그대로 ‘머리카락 하나 만큼의 차이(差異)’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차이를 뜻한다. 일본말 ‘간하쓰(間髮)’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같은 의미를 가진 우리말 표현(表現)으로는 ‘종이 한 장 차이’, ‘터럭 하나 차이’ 등이 있다.

각(角)은 뿔, 축(逐)은 쫓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각축이란 서로 뿔을 맞대고 싸우는 것을 말한다. 실력이 비슷한 사람이나 팀끼리 양보 없이 대등하게 겨루는 모습을 비유한 말이다. 角逐之勢(각축지세) 또는 互角之勢(호각지세)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