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한자&한문』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한자 학습지 샘플 보기.

전통적(傳統的) 인문학(人文學) 분야(分野)인 ‘문학(文學), 역사(歷史), 철학(哲學)’을 이르는 말. 인문학(人文學)을 제대로 하기 위(爲)해서는 문사철(文史哲)을 모두 겸비(兼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그 : 시사 용어

재즈는 난해한 음악? 뉴올리언스 가면 문외한도 들썩 – 중앙일보.2018.06.23. 미국 남부 재즈의 본고장 뉴올리언스에서는 광장·카페·술집에서 온종일 재즈가 연주되기 때문에, 초보자라 할지라도 어느새 재즈의 난해한 선율과 리듬에 익숙해져 온몸으로 느끼게 된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문외한이란 어떤 일에 대한 지식이나 조예가 없는 사람 또는 어떤 일과 전혀 관계가 없거나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전문가의 상대어이다. 원래 뜻을 문 […]

태그 : 뉴스속한자어 시사 용어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은 아마도 인물을 평가하고 비교하기를 좋아했던 모양이다. 논어 헌문편31장에 보면 자공이 인물을 비교하니 공자가 나는 “그럴 겨를이 없다.”고 하는 이야기가 보인다. 어느 날 공자는 그러한 자공에게 “안회와 비교하여 너는 어떠한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자공은 “제가 어떻게 감히 안회를 따라갈 수 있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고(문일지십聞一知十)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뿐입니다(문일지이聞一知二).”라고 하였다. […]

태그 : 고사성어 공부(工夫) 이야기 한자성어

‘대문(大門) 앞이 저자를 이루다’라는 뜻으로 세도가(勢道家)나 부잣집에 찾아오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전한 11대 황제 애제 때 일이다. 애제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국정에 관심이 없자 여러 충신들이 죽기를 각오하고 충언을 했다. 장관 중 정숭이란 자도 여러번 충언을 올리다 애제에게 미움을 샀다. 이 때 아첨을 일삼던 조창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날, 애제에게 이렇게 고했다. “폐하, 정숭의 […]

태그 : 6급고사성어 6급사자성어 고사성어 한자성어

문전성시란 문 앞이 시장과 같다는 뜻이에요. 즉, 권세가 높거나 재물이 많아서, 시장이 들어 선 것처럼 찾아 오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의미에요. 예를 들어, 유명한 가수나 배우의 집 앞에는 팬들이나 기자들이 많이 모여서 마치 시장과 같은 분위기를 만들 수 있어요. 이런 상황을 문전성시라고 할 수 있어요.

“문학(文學)은 인간(人間)이 어떻게 극복(克服)하고 살아가는 가를 가르친다.’ 그렇다. 문학은 삶의 용기(勇氣)를, 사랑을, 인간다운 삶을 가르친다. 문학 속에 등장(登場)하는 인물들의 치열(熾烈)한 삶을, 그들의 투쟁(鬪爭)을, 그리고 그들의 승리(勝利)를 나는 배우고 가르쳤다. 문학의 힘이 단지 허상(虛像)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證明)하기 위해서도 나는 다시 일어날 것이다.” 저자.장영희.샘터사.2005.03.15.

태그 : 내가읽은책 명언명구

物盛則必衰 만물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되고, 有隆還有替 일어남이 있으면 다시 폐함이 있나니, 速成不堅牢 빨리 이룬 것은 견고하지 못하고, 亟走多顚躓 빨리 달리면 엎드려지는 일이 많은 것이다. 灼灼園中花 곱게 빛나는 정원 속의 꽃은, 早發還先萎 먼저 피면 도로 먼저 시들고 마는 것이다.  – 경계의 글. 소학

태그 : 명언명구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만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으니, 선후를 알면 도에 가깝다.

태그 : 명언명구

且夫水之積也 不厚면 則其負大舟也 無力이라. 장자. 소요유 물이 깊지 않으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다. 얕은 물에는 큰 배를 띄울 수 없다. 고작해야 종이배를 띄울 수 있을 뿐이다. 큰 꿈을 이루려면 작은 노력으로는 되지 않는다. 설령 큰 꿈에 도달했다하더라도 바로 밑천이 드러나 추락하기 쉽다. 가까운 숲이나 들로 놀러 가는 사람은 세 끼 식사만 가지고 가도 돌아올 […]

태그 : 명언명구 장자

水至淸則無魚, 人至察則無徒.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너무 살피면 무리가 없다.

태그 : 격언모음 명언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