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이 건국된 직후에는 정실 왕비 소생의 왕자들에 대해 고려 왕조를 모방하여 공(公)을 칭하였으나, 참람되게 중국을 모방할 수 없다는 이유로 1401년(태종 1년) 음력 1월 25일 공(公)이라는 호칭은 부원대군(府院大君)으로 고쳐졌다. 함께 쓰이던 후(侯)·백(伯)의 호칭은 각각 부원군(府院君)과 군(君)으로 고쳐졌다. 이후 부원대군은 폐지되고 대군으로 그 이름이 변경되었다. 다만 이 당시만 해도 환조(桓祖)의 서자인 이화가 대군에 봉해진 것으로 볼 때 체계적으로 그 제도가 확립되었다고 하기는 어려우며, 왕비 소생의 아들에게만 대군의 작위를 부여한 것은 사실상 1414년(태종 14년) 음력 1월부터였다. 이때서야 왕비 소생의 왕자에게 “대군(大君)”을, 빈(嬪, 후궁) 소생의 왕자에게 “군(君)”을 봉하기 시작했다. – 출처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대군
"2017, 2월 18일" 글 보관함
1. 쉼표로 열거(列擧)된 어구(語句)가 다시 여러 단위(單位)로 나누어질 때.
예)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의원을 뽑는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2. 특정(特定)한 의미(意味)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
예)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系列)의 단어(單語) 사이.
예)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1. 꽃을 심어 가꾸는 항아리.
정원(庭園)에 있던 화분을 거실(居室)로 옮기다가 깨고 말았다.
1. 보통(普通)과는 달리 이상(異常)하여 의심(疑心)스럽다.
수상한 사람을 보면 경찰(警察)에 신고(申告)해야 한다.
1. 가르칠 때에 책 따위를 올려놓고 사용(使用)하기 위한 탁자(卓子).
화분(花盆) 두 개가 교탁 위에 놓여 있었다.
1. 그릇이나 포장 따위의 안에 든 것.
선생(先生)님께서 가방의 내용을 검사(檢査)하셨다.
2. 글이나 말 따위에 들어 있는 것.
이 동화(童話)의 내용은 정말 감동적(感動的)이다.
1. 운동 경기(競技) 따위에서 최후(最後)의 승패(勝敗)를 결정함.
그 축구 선수는 천금(千金) 같은 결승골로 경기를 마무리 했다.
2. 결승전(決勝戰)의 준말.
이번에 승리(勝利)하면 우리학교가 결승에 진출(進出)한다.
1. 생각이나 느낌을 겉으로 드러내어 나타냄.
그 남학생(男學生)은 선생(先生)님에 대한 감사(感謝)의 표현으로 자그마한 선물(膳物)을 드렸다.
1. 덜어서 없앰.
노인(老人)은 농사(農事) 준비(準備)를 위해 밭의 잡초(雜草)를 제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