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槐之根是爲芷, 其漸之滫君子不近.
난괴의 뿌리는 향초가 되지만, 뜨물에 적시면 군자도 가까이 하지 않는다.
뜨물이란 곡식을 씻어내 부옇게 된 물이다. 난괴라는 풀은 향기를 내는 풀로서 향료로 쓰이나 그 풀을 뜨물에 적시면 변하여 나쁜 냄새가 난다.
아무리 좋은 재료라 하더라도 잘못 가공하면 쓸모가 없어진다. 난괴의 뿌리를 향초로 키워낼 훌륭한 교육 역시 재능과 자질만큼이나 중요하다.
蘭槐之根是爲芷, 其漸之滫君子不近.
난괴의 뿌리는 향초가 되지만, 뜨물에 적시면 군자도 가까이 하지 않는다.
뜨물이란 곡식을 씻어내 부옇게 된 물이다. 난괴라는 풀은 향기를 내는 풀로서 향료로 쓰이나 그 풀을 뜨물에 적시면 변하여 나쁜 냄새가 난다.
아무리 좋은 재료라 하더라도 잘못 가공하면 쓸모가 없어진다. 난괴의 뿌리를 향초로 키워낼 훌륭한 교육 역시 재능과 자질만큼이나 중요하다.
木受繩則直, 金就礪則利.
나무는 먹줄을 받아서 곧아지고, 쇠는 숫돌에 갈아서 날카로워진다.
먹줄은 목재나 석재 등에 검은 줄을 곧게 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움푹 파인 두 개의 그릇 모양의 나무 한 쪽에는 먹물에 적신 솜이 있고 다른 쪽에는 먹줄을 감아 놓은 도르래가 있어 그 줄이 먹솜그릇을 통해서 풀려 나오게 되어 있다. 먹솜그릇을 통과해서 나온 줄에는 먹물이 묻어 있다. 그리고 먹줄 끝에 조그마한 송곳이 있다. 이 송곳을 한쪽 끝에 고정시키고 반대쪽 끝에서 먹통을 쥔 채로 목재 위에 먹줄을 튀기며 곧은 먹줄선이 쳐진다.
먹줄로 그은 줄을 따라서 나무를 깎으면 곧게 깍을 수가 있고, 쇠는 숫돌에 갈면 날카로워 질 수 있다. 삶도 그렇다. 자신이 목적하는 곳으로 잘 나아가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는 먹줄과 자신을 갈고 닦을 숫돌이 필요하다.
삶의 먹줄은 무엇인가? 사색을 통해 얻어지는 나만의 삶의 철학이다. 자신만의 삶에 대한 철학이 없다면 나침반 없이 항해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삶의 숫돌은 무엇인가? 나에게는 독서이다. 책을 통해 나를 갈고 닦고 확장시켜나갈 수 있다.
당신은 어떤 먹줄을 가지고 있는가? 당신을 닦아낼 숫돌은 또 무엇인가?
跂而望矣, 不如登高之博見也.
발돋움하여 바라보아도, 높은 곳에 올라가서 널리 보는 것만 못하다.
어떤 일을 배우거나 시작할 때 독학도 물론 좋다. 그러나 독학만으로는 높은 경지에 오르기는 어렵다. 어느정도 준비가 되면 좋은 스승을 만나거나 고수들의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시야를 더욱 넓히고 자신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 멀리 그리고 널리 나아가고자 한다면 발돋움질 하기보다는 높은 곳에 올라서 보라.
百發一失, 不足謂善射.
백발을 쏘아 한 발을 실수하더라도, 궁술의 명인이라고 할 수 없다.
선사(善射)-궁술의 명인.
아마추어라면 100발중 80발을 잘 쏘았더라도 훌륭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러나 프로는 다르다. 단 한발의 실수도 크다.
적당히 잘하기는 쉬우나 완벽히 잘 하기는 어렵다. 당신의 목표는 프로인가? 아마추어인가? 그럭저럭 하면서 프로 소리를 듣고자 한다면 욕심이다.
坐山觀虎鬪
산 위에 앉아 호랑이 두 마리가 다투는 것을 보다. 외부의 형세를 본 후 자신의 의견이나 입장을 정함.
이제 막 기세가 올라있는 호랑이 두마리의 싸움에 끼어드는 일은 어리석을 뿐더러 위험한 일이다. 먼저 산 위에 올라앉아 두 마리의 호랑이가 싸우는 것을 지켜보고 한 마리가 죽고, 나머지 한 마리가 기진맥진해있을 때 나서는 것이 현명하다.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칭찬(稱讚)과 비난(非難)에도 흔들리지 말라. 큰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獅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렵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今日是立功名取富貴之時 其可無勇乎.
오늘이 공명을 세우고 부귀를 취할 때이니 어찌 용기가 없을 수 있겠는가.
白日莫虛渡,靑春不再來.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청춘은 다시 오지 않는다.
가장 높은 덕을 논의하는 자는 세속과 타협妥協 하지 않으며, 큰 공을 이루는자는 뭇사람과 상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나라를 강하게 할 수 있으면 구태여 옛것을 본 뜨지 않고, 백성을 이롭게 할 수 있으면 옛날의 예악禮樂 제도를 좇지 않았다.
– 공손앙
傷人之語, 還是自傷, 含血噴人, 先汚其口。
남을 해치는 말은 도리어 자신을 해치니, 피를 입에 물고 남에게 뿜으면 먼저 자신의 입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