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成長)을 위해서는 문제(問題)에 주목(注目)하기보다는 이상(理想)에 집중(集中)하는게 더 낫다. 이상을 좇아 상승하다보면, 어느덧 심각(深刻)했던 문제도 하찮은 것으로 바뀌어버리기 때문이다. 매슬로의 전략(戰略)도 이와 같다. 큰 인간(人間)이 되고나면 소인배(小人輩)였던 시절(時節)의 문제는 이제 고민거리가 아니다.
– 에이브러햄 매슬로. 존재의심리학
성장(成長)을 위해서는 문제(問題)에 주목(注目)하기보다는 이상(理想)에 집중(集中)하는게 더 낫다. 이상을 좇아 상승하다보면, 어느덧 심각(深刻)했던 문제도 하찮은 것으로 바뀌어버리기 때문이다. 매슬로의 전략(戰略)도 이와 같다. 큰 인간(人間)이 되고나면 소인배(小人輩)였던 시절(時節)의 문제는 이제 고민거리가 아니다.
– 에이브러햄 매슬로. 존재의심리학
讀書破萬卷, 下筆如有神
‘만권의 책을 독파하자, 붓을 들고 글을 지으니 마치 신들린 듯하더라.’
– 두보(712~770)
높은 곳에 오르면 마음이 밝아지고, 맑은 냇물에 몸을 적시면 속세(俗世)를 떠난 것 같으며, 눈 오는 밤 독서(讀書)에 잠기면 기쁨과 즐거움이 가득 찬다. 이런 취미(趣味)가 곧 인생(人生)의 참다운 모습이다.
– 채근담
한 권(卷)의 좋은 책(冊)은 위대(偉大)한 정신(精神)의 귀중(貴重)한 활력소(活力素)이고, 삶을 초월(超越)하여 보존(保存)하려고 방부처리(防腐處理)해 둔 보물(寶物)이다.
– 존 밀턴
독서(讀書)는 일종(一種)의 탐험(探險)이어서 신대륙(新大陸)을 탐험(探險)하고 미개지(未開地)를 개척(開拓)하는 것과 같다.
– 듀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독서(讀書)를 통(通)해 인생(人生)의 새 장(場)을 열어왔는가!
– 헨리 데이빗 소로
내가 알고 싶은 것은 모두 책(冊)에 있다. 내가 읽지 않은 책(冊)을 찾아주는 사람이 바로 나의 가장 좋은 친구(親舊)이다.
– 링컨
출옥(出獄) 후(後)에 책(冊)을 볼 시간(時間)이 없을 때에는 정말이지 아무런 구애(拘礙)를 받지 않고, 독서(讀書)에 몰입(沒入)할 수 있었던 감옥(監獄)이 그리웠다. 다시 감옥(監獄)에 들어가고 싶다는 충동(衝動)이 일기도 했다.
– 김대중 전 대통령
가장 발전(發展)한 문명사회(文明社會)에서도 책(冊)은 최고(最高)의 기쁨을 준다. 독서(讀書)의 기쁨을 아는 자(者)는 재난(災難)에 맞설 방편(方便)을 얻은 것이다.
– 랄프 왈도 에머슨
한 인간(人間)의 존재(存在)를 결정(決定) 짓는 것은 그가 읽은 책(冊)과 그가 쓴 글이다.
– 도스토옙스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