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고사성어모음"의 글 태그

대롱의 구멍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말로 좁은 식견으로는 광대한 사물의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음을 의미함.

춘추시대 말기 편작(扁鵲)이라는 뛰어난 명의가 있었다. 그가 괵이라는 작은 나라에 간 일이 있었는데 갑자기 그 나라의 태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편작은 궁궐의 어의를 만나 태자의 병에 대해 듣고 태자를 살려보겠다고 하였다. 괵 나라의 어의는 깜짝 놀라며 편작을 비웃었다. 편작은 “당신의 의술은 대롱을 가지고 하늘을 엿보며(用管窺天) 좁은 틈새로 상황을 살피는 것과 같이 도저히 전체를 간파한다고 할 수 없소. 나의 의술은 전체를 보는 것이요. 못 믿겠으면 다시 한 번 태자를 진단해 보시오. 양쪽 허벅다리를 쓰다듬어 가다가 음부에 닿으면 아직 그곳이 따뜻할 것이오.”
반신반의(半信半疑)하며 다시 살펴보니 과연 편작의 말대로였다. 마침내 편작이 침을 놓자 태자가 살아나 며칠 후 건강을 되찾았다. 이 일로 편작이 죽은 이도 살려낸다는 소문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자 편작이 겸손하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죽은 이를 소생시킨 것이 아니라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을 고친 것뿐입니다.”

– 사기.편작창공열전

등불을 가까이 할 수 있다는 말로, 책을 읽고 학문을 탐구하기에 좋다는 뜻.

한유(韓愈)가 아들의 독서를 권장하기 위해 지은 시 《부독서성남시(符讀書城南詩)》 중에 등장한다.

時秋積雨霽 철은 가을 되어 장마는 그치고
新凉入郊墟 서늘한 기운은 마을에 가득하네.
燈火秒可親 이제 등불을 가까이 할만 하니
簡編可卷舒 책 펼칠 만 하게 되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