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시사"의 글 태그

전통적(傳統的) 인문학(人文學) 분야(分野)인 ‘문학(文學), 역사(歷史), 철학(哲學)’을 이르는 말.

인문학(人文學)을 제대로 하기 위(爲)해서는 문사철(文史哲)을 모두 겸비(兼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주(僭主)란 왕통(王統)과 같은 혈통(血統)에 관계(關係)없이 실력(實力)에 따라 또는 하층(下層) 민중(民衆)의 불만(不滿)을 이용(利用)하여 그들의 지지(支持)를 얻어 군주(君主)의 자리를 찬탈(簒奪)하고, 신분(身分)을 뛰어 넘어 군주가 되는 사람을 말한다. 후대(後代)에 참주(僭主)는 ‘폭군(暴君)’이라는 의미(意味)와 통하지만, 참주정치가 폭정(暴政)만을 했던 것은 아니며 민중(民衆)의 지지를 얻기 위해 선정(選定)을 베풀기도 하였다.
그리스에서 참주는 대략(大略) 기원전(紀元前) 660년경(年頃)부터 각지(各地)에 등장(登場)하는데, 이 시기(時期)는 귀족(貴族)의 지배(支配)에서 민주정(民主政)으로 넘어가는 과도기(過渡期)에 해당(該當)한다. 이전(以前)에는 전차(戰車) 중심(中心)의 전쟁(戰爭)에서 귀족(貴族)들이 큰 역할(役割)을 하였기 때문에 정치적(政治的)인 실권(實權)을 장악(掌握)하고 있었으나, 무역(貿易)과 상공업(商工業) 활동(活動)으로 부유(富裕)해진 농민(農民)들이 스스로 무장(武裝)을 하면서 전투(戰鬪)에서 중심적(中心的)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제 시민(市民)들은 귀족들과 대립(對立)하여 자신(自身)들의 발언권(發言權)을 높이게 되는데, 바로 이런 민중(民衆)의 지지(支持)를 받아 무력(武力)으로 권력(權力)을 잡은 이들이 참주가 되었다.

수구(守舊)의 사전적 정의는 ‘옛 제도나 관습을 그대로 지키고 따름’이고 보수(保守)는 ‘보전하여 지킴’이라는 의미이다. 두 단어의 사전적 정의는 거의 비슷해 보이는데, 실제로 쓰일 때 수구는 좋지 않은 의미의 보수, 또는 극보수(極保守)를 말한다.
보수라고해서 무조건적으로 변화(變化)를 거부하며 전통적인 것을 유지(維持)하는 것은 아니다. 보수 역시 변화한다. 물론 그 속도는 진보(進步)에 비해 느릴지라도, 진보의 빠른 변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보수 역시 나은 방향으로 진화(進化)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구는 변화를 거부하고 오히려 퇴행(退行)하는 보수, 기득권(旣得權)에 집착하며 잘못된 가치마저 지키려는 보수라 할 수 있다.

옛 형벌 기구인 차꼬와 수갑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차꼬는 기다란 두 개의 토막나무 틈에 가로 구멍을 파서 죄인의 두 발목을 그 구멍에 넣고 자물쇠로 채우게 되어 있는 형벌 기구이다. 즉 桎梏(질곡) 이라는 말은 속박(束縛) 또는 굴레라는 말과 비슷하다.

예문)
桎梏의 세월을 보내다.
독재의 桎梏에서 벗어나다.
그들은 인습의 桎梏에서 벗어났다.

~을 (비유적으로) 명확하게 결말을 내지 않고 일시적으로 감추거나 흐지부지 덮어 버리다.

 

현실을 호도(糊塗)하다.

사건의 본질을 호도(糊塗)하다.

그들의 비리에 대하여 알레르기성 반응을 표출시키는 저변엔 내 무능을 호도(糊塗)해 보자는 비열한 잔꾀가 은닉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출처 : 김성동, 만다라

‘일찍이 있지 않았던 일’이라는 뜻으로, 불경에서 부처의 공덕을 찬탄(讚歎/贊嘆)하거나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일을 말할 때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았던 매우 놀라운 사건이나 일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미증유의 참사’라는 식으로 표현된다.

미상유(未嘗有)라고도 하며, 전대미문(前代未聞: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음)과 같은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