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이 “열 왕조(王朝) 뒤의 일을 미리 알 수 있습니까?(十世可知也잇가)” 하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를 인습(因襲)하였으니, 손익(損益)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주나라는 은나라의 예를 인습하였으니, 손익(損益)한 것을 알 수 있다. 혹시라도 주(周)나라를 잇는 자가 있다면 비록 백세(百世) 뒤라도 알 수 있을 것이다.(殷因於夏禮하니 所損益을 可知也며 周因於殷禮하니 所損益을 可知也니 其或繼周者면 雖百世라도 可知也니라)” – 논어.위정.23장
『논어』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서 인(仁)하지 못하면 예(禮)를 어떻게 사용하며, 사람으로서 인(仁)하지 못하면 악(樂)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겠는가?(人而不仁이면 如禮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可리오)” – 논어.팔일.3장
재아가 물었다. “인자(仁者)는 비록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고 말해 주더라도 <우물에 빠진 사람을 구제하고자 하여> 따라 우물에 들어가겠습니다.(仁者는 雖告之曰 井有仁『[人]』焉이라도 其從之也로소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찌 그렇게 하겠는가. 군자(君子)는 <우물까지> 가게 할 수는 있으나 빠지게 할 수는 없으며, <이치에 있는 말로> 속일(欺) 수는 있으나 <터무니없는 말로> 속일(罔) 수는 없는 것이다.(何爲其然也리오 君子는 可逝也언정 不可陷也며 可欺也언정 不可罔也니라)” – 논어.옹야.24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하지 못한 자는 오랫동안 곤궁한 데 처할 수 없으며 장구하게 즐거움에 처할 수 없으니, 인자(仁者)는 인(仁)을 편안히 여기고 지자(智者)는 인(仁)을 이롭게 여긴다.(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 – 논어.이인.2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과실을 각기 그 유(類)대로 하는 것이니, 그 사람의 과실을 보면 인(仁)을 알 수 있다.(人之過也는 各於其黨이니 觀過면 斯知仁矣니라)” – 논어.이인.7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치는 정직하니, 정직하지 않으면서도 생존하는 것은 <죽음을> 요행히 벗어난 것이다.(人之生也直하니 罔之生也는 幸而免이니라)” – 논어.옹야.17장
증자가 병환이 있자, 맹경자가 문병을 왔다. 증자가 말씀하였다. “새가 장차 죽을 때에는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장차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한 법이다. 군자가 귀중히 여기는 도가 세 가지 있으니, 용모를 움직일 때에는 사나움과 태만함을 멀리하며, 얼굴빛을 바로잡을 때에는 성실함에 가깝게 하며, 말과 소리를 낼 때에는 비루 함과 도리에 위배되는 것을 멀리하여야 한다. 제기(祭器)를 다루는 등의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다,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음료로 누추한 시골에 있는 것을 딴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변치 않으니, 어질다, 안회여!(賢哉라 回也여 一簞食와 一瓢飮으로 在陋巷을 人不堪其憂어늘 回也不改其樂하니 賢哉라 回也여)” – 논어.옹야.9장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삼(參)아! 우리 도(道)는 한 가지 이치가 (만 가지 일을) 꿰뚫고 있다.(參乎아 吾道는 一以貫之니라)” 하시니, 증자께서 “예.(唯라)” 하고 대답하였다. 공자께서 나가시자, 문인(門人)들이 “무슨 말씀입니까?(何謂也잇고)” 하고 물으니, 증자께서 대답하셨다. “부자(夫子)의 도(道)는 충(忠)과 서(恕)일 뿐이다.(夫子之道는 忠恕而已矣시니라)” – 논어.이인.15장
임금이 불러 국빈(國賓)을 접대하게 하시면 낯빛을 변하시고 발걸음을 조심하셨다. 함께 서 있는 <동료의 빈(擯)에게> 읍(揖)하시되 손을 좌우(左右)로 하셨는데, 옷의 앞뒤자락이 가지런하셨다. 빨리 나가실 때는 새가 날개를 편 듯 하셨다. 손님이 물러가면, 반드시 “손님이 돌아보지 않고 잘 갔습니다.” 하고 보고하셨다.(君召使擯이어시든 色勃如也하시며 足躩如也러시다 揖所與立하사대 左右手러시니 衣前後襜如也러시다 趨進에 翼如也러시다 賓退어든 必復命曰 賓不顧矣라하더시다) – 논어.향당.3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