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논어』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한자 학습지 샘플 보기.

공자게서 말씀하셨다. “묵묵히 기억하며 배우고 싫어하지 않으며 사람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 것, 이중에 어느 것이 나에게 있겠는가?(默而識之하며 學而不厭하며 誨人不倦이 何有於我哉오)” – 논어.술이.2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술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夏)나라의 예(禮)를 내가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손의 나라인> 기(杞)나라에서 충분히 증거를 대주지 못하며, 은(殷)나라의 예(禮)를 내가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손의 나라인> 송(宋)나라에서 충분히 증거를 대주지 못함은 문헌(文獻)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문헌(文獻)이> 충분하다면 내가 <내 말을> 증거댈 수 있을 것이다.(夏禮를 吾能言之나 杞不足徵也며 殷禮를 吾能言之나 宋不足徵也는 文獻不足故也니 足則吾能徵之矣로리라)” – 논어.팔일.9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팔일

공자께서는 상(喪) 중에 있는 사람 곁에서 음식을 먹을 적에는 배불리 먹은 적이 없으셨다.(子食於有喪者之側에 未嘗飽也러시다) – 논어.술이.9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술이

< ≪시경≫에 누락된 일시(逸詩) >에 “당체(唐棣)의 꽃이여! 바람에 흔들리는구나. 어찌 그대를 생각하지 않으리오. 집이 멀기 때문이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생각하지 않아서일지언정 어찌 멀리 있겠는가?(未之思也언정 夫何遠之有리오)” – 논어.자한.30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자한

자공이 “공문자(孔文子)를 어찌하여 문(文)이라고 시호 하였습니까?(孔文子를 何以謂之文也잇고)” 하고 묻자, 공자께서 다음과 같이 대답하셨다. “명민(明敏)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으며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문(文)이라 한 것이다.(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라 是以謂之文也니라)” – 논어.공야장.14장

태그 : 공야장 논어 논어읽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가 문(文)에 대하여 널리 배우고 예(禮)로써 요약(約) 한다면 또한 <도(道)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君子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弗畔矣夫인저)” – 논어.옹야.25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옹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더라도 즐거움은 또한 그 가운데 있으니, 의(義)롭지 못하고서 부(富)하고 또 귀(貴)함은 나에게 있어 뜬구름과 같으니라.(飯疏食飮水하고 曲肱而枕之라도 樂亦在其中矣니 不義而富且貴는 於我如浮雲이니라)” – 논어.술이.15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술이

섭공이 자로에게 공자의 인물됨을 물었는데, 자로가 대답하지 않았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어찌하여 ‘그(공자)의 사람됨이 어떤 일에 빠져들면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워하며 근심을 잊어 늙어가는 것조차 의식하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하지 않았는가?(女奚不曰 其爲人也發憤忘食하고 樂以忘憂하여 不知老之將至云爾오)” – 논어.술이.18장

태그 : 고사성어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술이 한자성어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친구가 있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다른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有朋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人不知而不慍이면 不亦君子乎아?)” 하였다. – 논어.학이.1장

태그 : 공부(工夫)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친구(親舊) 학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음이 없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學而不思則罔하고 思而不學則殆니라.)” – 논어.위정.15장

태그 : 공부(工夫)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