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
만사는 나뉘어 이미 정해져 있는데 덧없는 삶이 쓸데없이 스스로 바빠한다.

萬事分已定, 浮生空自忙.
만사는 나뉘어 이미 정해져 있는데 덧없는 삶이 쓸데없이 스스로 바빠한다.
若人作不善, 得顯名者, 人雖不害, 天必誅之.
만약 사람이 선하지 않은 일을 하며 명성을 얻으려 하는 자는, 사람이 비록 해하지 못해도 하늘이 반드시 그를 벨 것이다.
得은 “~을 얻다”라는 뜻이지만, 뒤에 술어가 오면 조동사로(can, 가능) 의역해 주는 것이 자연스럽다.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배운 뒤에야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뒤에야 어려움을 안다. 《예기(禮記)》 학기편(學記篇) 1장.
배움은 우리 자신이 아직 부족함을 깨닫게 해 줍니다. 사람은 배움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고, 더 나은 성장을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또 가르치는 과정에서 비로소 자신의 지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알게되며 지식 전달의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와 지식의 체득이 가능해집니다.
한자공부는 전통한자제본 노트에https://smartstore.naver.com/haenammae/products/10438055836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선을 보기를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이 하고, 불선 보기를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 같이 하라.
富家不用買良田 書中自有千鍾粟. 安居不用架高堂 書中自有黃金屋.
집안을 부유하게 하는데 좋은 밭을 사지 마라. 책 속에 천 종의 곡식이 있다. 편안히 거처하려고 높은 집을 짓지 마라. 책 속에 황금 집이 있다.
行善之人, 如春園之草, 不見其長, 日有所增. 行惡之人, 如磨刀之石, 不見其損, 日有所虧.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풀이 자라는 것을 보지는 못해도 날마다 조금씩 늘어나는 바가 있으며, 악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돌과 같아서 그것이 닳아 없어짐을 보지는 못해도 날마다 조금씩 이지러지는 바가 있다.
一日行善, 福雖未至, 禍自遠矣. 一日行惡, 禍雖未至, 福自遠矣.
하루 선을 행한다고 복이 오지는 않지만 화는 저절로 멀어지고, 하루 악을 행한다고 화가 오지는 않지만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
終身行善, 善猶不足, 一日行惡, 惡自有餘.
종신토록 선을 행해도 선은 오히려 부족하고, 하루만 악을 행해도 악은 절로 남음이 있다.
天地何聲第一淸,雪山深處讀書聲.
온 세상에 무슨 소리가 가장 맑을까, 눈 쌓인 깊은 산속의 글 읽는 소리로다.
勿以惡小而爲之, 勿以善小而不爲.
악이 작다고 하여 해서는 안되며, 선이 작다고 하여 하지 않아서는 안된다.
以는 주로 명사(구)의 앞 또는 뒤에 붙어서 “~로서”의 뜻으로 쓰인다. 그러나 以뒤에 명사절을 받으면 “~하여서, ~이기 때문에”의 뜻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