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한자성어"의 글 태그

중국의 병법서에 나오는 전쟁에 쓰이는 36가지 계책. 본문의 ‘삼십육계(三十六計) 주위상책(走爲上策)’이라는 말로부터 ‘삼십육계 줄행랑’이라는 관용적 표현이 생겨났고, 또 그것이 줄어서 삼십육계 하면 도망가는 방책을 가리키게 되었다.

싸우는 때마다 모조리 이김

‘지피지기 백전백승’의 출처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이나, 손자병법의 원문은 다르다.
知彼知己 百戰不殆, 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
상대를 알고 자신도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으나 상대를 알지 못한 채 자신만 알면 승패를 주고받을 것이며 상대도 모르고 자신도 모르면 싸움에서 반드시 위태롭다.

은나라의 거울은 멀리 있지 않다. 본보기로 삼을 만한 일은 가까이에 있다는 뜻.

중국 은나라보다 앞선 나라는 夏(하)나라이다. 하나라의 마지막 왕은 걸왕이다. 걸왕은 폭정을 행하다 결국 은나라의 탕왕에게 멸망 당했다. 그러나 은나라의 마지막 군주 紂王(주왕)은 걸왕을 능가할 폭군이었다. 은감불원이란 은나라의 주왕이 거울 삼아야할 전례는 하나라의 걸왕으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말이다.

‘대문(大門) 앞이 저자를 이루다’라는 뜻으로 세도가(勢道家)나 부잣집에 찾아오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전한 11대 황제 애제 때 일이다. 애제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국정에 관심이 없자 여러 충신들이 죽기를 각오하고 충언을 했다. 장관 중 정숭이란 자도 여러번 충언을 올리다 애제에게 미움을 샀다. 이 때 아첨을 일삼던 조창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 날, 애제에게 이렇게 고했다. “폐하, 정숭의 집 문 앞이 시장을(門前成市) 이루고 있습니다. 이는 심상치않은 일이니 엄중히 문책해야 합니다.”

애제는 즉시 정숭을 불렀다.
“그대 집 문 앞은 시장과 같다고 하던데, 그게 정말이오?”
“신의 집 문 앞은 시장과 같으나, 신의 마음은 물같이 깨끗합니다. 다시 조사해 주소서.”
그러나 애제는 정숭의 청을 묵살하고 옥에 가두었고 그 후 정숭은 옥사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