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槐之根是爲芷, 其漸之滫君子不近.
난괴의 뿌리는 향초가 되지만, 뜨물에 적시면 군자도 가까이 하지 않는다.
뜨물이란 곡식을 씻어내 부옇게 된 물이다. 난괴라는 풀은 향기를 내는 풀로서 향료로 쓰이나 그 풀을 뜨물에 적시면 변하여 나쁜 냄새가 난다.
아무리 좋은 재료라 하더라도 잘못 가공하면 쓸모가 없어진다. 난괴의 뿌리를 향초로 키워낼 훌륭한 교육 역시 재능과 자질만큼이나 중요하다.
蘭槐之根是爲芷, 其漸之滫君子不近.
난괴의 뿌리는 향초가 되지만, 뜨물에 적시면 군자도 가까이 하지 않는다.
뜨물이란 곡식을 씻어내 부옇게 된 물이다. 난괴라는 풀은 향기를 내는 풀로서 향료로 쓰이나 그 풀을 뜨물에 적시면 변하여 나쁜 냄새가 난다.
아무리 좋은 재료라 하더라도 잘못 가공하면 쓸모가 없어진다. 난괴의 뿌리를 향초로 키워낼 훌륭한 교육 역시 재능과 자질만큼이나 중요하다.
木受繩則直, 金就礪則利.
나무는 먹줄을 받아서 곧아지고, 쇠는 숫돌에 갈아서 날카로워진다.
먹줄은 목재나 석재 등에 검은 줄을 곧게 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움푹 파인 두 개의 그릇 모양의 나무 한 쪽에는 먹물에 적신 솜이 있고 다른 쪽에는 먹줄을 감아 놓은 도르래가 있어 그 줄이 먹솜그릇을 통해서 풀려 나오게 되어 있다. 먹솜그릇을 통과해서 나온 줄에는 먹물이 묻어 있다. 그리고 먹줄 끝에 조그마한 송곳이 있다. 이 송곳을 한쪽 끝에 고정시키고 반대쪽 끝에서 먹통을 쥔 채로 목재 위에 먹줄을 튀기며 곧은 먹줄선이 쳐진다.
먹줄로 그은 줄을 따라서 나무를 깎으면 곧게 깍을 수가 있고, 쇠는 숫돌에 갈면 날카로워 질 수 있다. 삶도 그렇다. 자신이 목적하는 곳으로 잘 나아가고 있는지 돌아볼 수 있는 먹줄과 자신을 갈고 닦을 숫돌이 필요하다.
삶의 먹줄은 무엇인가? 사색을 통해 얻어지는 나만의 삶의 철학이다. 자신만의 삶에 대한 철학이 없다면 나침반 없이 항해하는 것과 같을 것이다.
삶의 숫돌은 무엇인가? 나에게는 독서이다. 책을 통해 나를 갈고 닦고 확장시켜나갈 수 있다.
당신은 어떤 먹줄을 가지고 있는가? 당신을 닦아낼 숫돌은 또 무엇인가?
跂而望矣, 不如登高之博見也.
발돋움하여 바라보아도, 높은 곳에 올라가서 널리 보는 것만 못하다.
어떤 일을 배우거나 시작할 때 독학도 물론 좋다. 그러나 독학만으로는 높은 경지에 오르기는 어렵다. 어느정도 준비가 되면 좋은 스승을 만나거나 고수들의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시야를 더욱 넓히고 자신을 확대해 나갈 수 있다. 멀리 그리고 널리 나아가고자 한다면 발돋움질 하기보다는 높은 곳에 올라서 보라.
不登高山, 不知天之高也.
산에 오르지 않으면 하늘이 높은 줄 모른다.
높은 산에 오르면 하늘은 얼마나 더 아득히 높은지 알게 된다. 다른 사람들의 재능이 별거 아닌것처럼 보이다가도 본인이 막상 그 일을 시작해 보면 다르다. ‘저정도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 아니야? 조금만 배우면 나고 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다가도 직접 시도해 보면 우리는 깨닫게 된다. 그 일이 수 많은 시간과 또 셀수 없는 땀방울을 적시어 이루어 낸 성과라는 것을.
坐山觀虎鬪
산 위에 앉아 호랑이 두 마리가 다투는 것을 보다. 외부의 형세를 본 후 자신의 의견이나 입장을 정함.
이제 막 기세가 올라있는 호랑이 두마리의 싸움에 끼어드는 일은 어리석을 뿐더러 위험한 일이다. 먼저 산 위에 올라앉아 두 마리의 호랑이가 싸우는 것을 지켜보고 한 마리가 죽고, 나머지 한 마리가 기진맥진해있을 때 나서는 것이 현명하다.
今日是立功名取富貴之時 其可無勇乎.
오늘이 공명을 세우고 부귀를 취할 때이니 어찌 용기가 없을 수 있겠는가.
傷人之語, 還是自傷, 含血噴人, 先汚其口。
남을 해치는 말은 도리어 자신을 해치니, 피를 입에 물고 남에게 뿜으면 먼저 자신의 입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다.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立身行道 揚名後世以顯父母 孝之終也.
몸과 머리털과 살갗은 부모에게 받은 것이니 감히 훼손하여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고, 성공하여 바른 도를 행하여 이름을 후세에 떨쳐 부모의 이름을 빛나게 하는 것이 효도의 끝이다.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모든 사람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그 이유를 살피고, 모든 사람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그 이유를 살펴보라.
인간이란 ‘두려움을 주는 자보다 사랑을 주는 자에게 해를 끼치기를 덜 주저하는’ 邪惡한 존재다. 정치는 이 같은 인간의 이기적이고 공격적인 본능을 抑制하는 강제 장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