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논어』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한자 학습지 샘플 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으면 안되니,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父母之年은 不可不知也니 一則以喜요 一則以懼니라)” – 논어.이인.21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이인 효(孝)

자공이 말하였다. “부자(夫子)의 문장(文章)은 들을 수 있으나, 부자(夫子)께서 성(性)과 천도(天道)를 말씀하시는 것은 들을 수 없다.(夫子之文章은 可得而聞也어니와 夫子之言性與天道는 不可得而聞也니라)” – 논어.공야장.12장

태그 : 공야장 논어 논어읽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사(政事)를 도모하지 않아야 한다.(不在其位하여는 不謀其政이니라)” – 논어.태백.14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태백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행동하는 것이 있는가? 나는 이러한 일이 없노라. 많이 듣고서 그 좋은 것을 가려서 따르며, 많이 보고서 기억해 둔다면 이것이 아는 것의 다음이 된다.(蓋有不知而作之者아 我無是也로라 多聞하여 擇其善者而從之하며 多見而識『(지)』之가 知之次也니라)” – 논어.술이.27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술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해진 솜옷을 입고서 여우나 담비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은 자와 같이 서 있으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자는 유(由-자로)일 것이다. 남을 해치지 않으며, 남의 것을 탐하지 않는다면 어찌 착하지 않겠는가?(衣敝縕袍하여 與衣狐貉者로 立而不恥者는 其由也與인저 不忮不求면 何用不臧이리오)” 자로가 <기뻐하며 위의 시구를> 종신토록 외우려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 도(道)가 무엇이 그리 좋겠는가.(是道也何足以臧이리오)” – 논어.자한.26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자한

공자께서 시냇가에 계시면서 말씀하셨다. “가는 것이 이 물과 같구나. 밤낮을 그치지 않는구나.(逝者如斯夫인저 不舍晝夜로다)” – 논어.자한.16장

태그 : 고사성어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자한 한자성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10호(戶)쯤 되는 조그만 읍(邑)에도 반드시 나(丘) 처럼 충신(忠信)한 자는 있지만, 나처럼 학문(學問)을 좋아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十室之邑에 必有忠信如丘者焉이어니와 不如丘之好學也니라)” – 논어.공야장.27장

태그 : 공야장 논어 논어읽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학문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산을 쌓는 것과 같으니, 산을 쌓을 때에 마지막 흙 한 삼태기를 쏟아 붓지 않아, 산을 완성시키지 못하고 그만 두는 것도 내가 그만 두는 것이며. (학문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땅을 고르는 것과 같으니, 땅을 고를 때에 흙 한 삼태기를 쏟아 부어 시작하는 것도 내가 나아가는 것이다.(譬如爲山에 未成一簣하여 止도 吾止也며 譬如平地에 雖覆一簣나 進도 […]

태그 : 공부(工夫)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자한

자유(子游)가 말하였다. “임금을 섬김에 자주 간하면 욕(辱)을 당하고, 붕우(朋友)간에 자주 충고하면 소원해지는 것이다.(事君數이면 斯辱矣요 朋友數이면 斯疏矣니라)” – 논어.이인.26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서 신(信-성실성)이 없으면, 그 가(可)함을 알지 못하겠다. 큰 수레에 수레채마구리가 없고, 작은 수레에 멍에막이가 없으면, 그 어떻게 길을 갈 수 있겠는가?(人而無信이면 不知其可也로라 大車無輗하고 小車無軏이면 其何以行之哉리오)” – 논어.위정.22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