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맹자읽기"의 글 태그

평범한 사내의 섣부른 용기.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제선왕이 ‘이웃나라와 사귐에 도(道)가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맹자는 ‘인자(仁者)는 대국으로 소국을 섬길 수 있으니, 소국이 비록 불공(不恭)하여도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소국으로 대국을 섬길 수 있으니, 의리(義理)에 밝고 시세(時勢)를 잘 알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제선왕이 말하길 ‘저는 용맹을 좋아하여 대국을 섬기거나 약소국을 구휼(救恤)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니 맹자가 말하길,

“칼을 만지며 상대방을 노려보며 말하길 ‘네가 감히 어찌 나를 이기겠는가?’ 하는 것은 필부의 용(匹夫之勇)입니다. 왕께서는 이와 같은 작은 용(勇)을 버리고, 용(勇)을 크게 하십시오. 문왕과 무왕은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셨습니다(一怒而安天下之民). 왕께서도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신다면 백성들은 왕께서 행여 용(勇)을 좋아하지 않을까 걱정할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3장

제선왕이 ‘문왕의 동산은 사방 70리 이고, 저의 동산은 사방 40리 인데, 백성들이 오히려 크다고 생각함은 어째서입니까?’ 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문왕의 동산에서는 백성들이 나무를 하거나, 꿩과 토끼를 잡을 수 있었으니 백성들이 작다고 여긴 것입니다. 신이 처음 제나라에 들어올 때, 제나라에서 크게 금지하는 것을 물으니 ‘동산에 있는 사슴을 죽이는 자는 살인의 죄로 다스린다.’라고 들었습니다. 이는 나라 가운데 사방 40리의 함정을 만든 것이니(是方七十里 爲阱於國中) 백성들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습니까?”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2장

제선왕이 세속적인 음악을 좋아한다고 하니, 맹자가 말하길,

“세속적인 음악이라도 괜찮습니다. 다만 왕께서 음악을 즐기실 때, 백성들이 불평하지 않고 왕의 악기소리를 듣고 모두 기뻐하는 기색이 있어 ‘우리 왕께서 건강하시구나, 어찌 저리 북을 잘 치실까.’ 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하기 때문입니다(此無他, 與民同樂也). 백성들과 함께 더불어 즐길 수 있다면, 옛 음악이 아니더라도 나라가 잘 다스려져 왕 노릇 하실 수 있습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1장

춘추시대에 제나라 환공과 진나라 문공이 서로 패권을 다투었는데,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宣王)은 다시 패권을 잡고 싶어 맹자에게 제환공과 진문공의 치적(治績)에 대해 들려달라고 했다. 그러나 맹자는 공자의 문도(門徒)들 가운데에는 환공이나 문공의 일에 대해서 말한 사람이 없어 후세에 전해지지 않아 자신은 듣지 못했다고 하며, 기어이 들으시겠다면 왕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다고 하였다. 제선왕이 맹자에게 자신도 백성을 위하는 왕도정치를 할 수 있는가 묻자 맹자가 답하길,

“3000근을 들 수 있는 사람이 새의 깃털 하나를 들지 못한다 하고, 시력은 가을에 짐승의 털끝- 추호(秋毫) – 까지 살필 수 있으면서 수레에 실은 장작더미는 보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하지 않는 것’ 이지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不爲也 非不能也). 일전에 왕께서 어떤 자가 소를 새로 완성한 종의 틈에 피를 바르기 위해 데려가는 것을 보고, ‘소가 두려워 벌벌 떨며 사지(死地)로 나아감을 차마 볼 수 없으니 놓아주고 양으로 바꾸라.’ 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소와 양이 죽는 것은 비록 같으나, 왕께서 소는 보았고 양은 보지 못하였기에 소에 대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일었던 것입니다. 왕의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짐승에까지 미쳤으나, 백성에게 이르지 않음은 왕께서 하지 않아서이지 할 수 없어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왕께서 왕도정치를 하지 않는 것일지언정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7장

혜왕의 아들 양왕(襄王)이 맹자에게 “누가 천하를 통일하겠습니까?” 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기를,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자가 통일할 것입니다.(不嗜殺人者能一之) 왕은 혹시 벼싹을 아십니까? 7,8월 사이에 날이 가물면 벼싹이 마르다가 하늘이 구름을 일으켜 비를 내리면 벼싹이 일어납니다. 비를 맞아 벼싹이 일어나는 것을 누가 막을 수 있겠습니까? 지금 천하의 군주들은 사람 죽이기를 좋아합니다. 만일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군주가 있다면 천하의 모든 백성들이 그에게 돌아감이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과 같을 것인데, 누가 그것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6장

혜왕이 맹자에게 “우리나라는 주변의 나라들에게 싸움에 져 여러 차례 모욕을 당하여 설욕을 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하니 맹자가 대답하길,

“형벌을 살펴하고 백성에게 세금은 적게 걷는 등의 백성들을 우선하는 좋은 정치를 한다면 백성들은 기꺼이 나라를 위해 싸울 것입니다. 만일 주변 나라의 군주가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아 백성들이 고통 받아 도탄(塗炭)에 빠져 있어, 왕께서 그 때 백성들과 함께 나아가신다면 누가 대적을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仁者無敵)는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5장

혜왕이 맹자에게 가르침을 청하니 맹자가 “칼로 사람을 죽이는 것과 정치로 사람을 죽이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殺人以刃與政, 有以異乎?)” 하고 물었다. 혜왕이 차이가 없다고 하니 맹자가 말하길,

“그렇습니다. 백성에게 세금을 거두어 임금의 푸줏간에는 살진 고기가 있고, 마구간에는 살찐 말이 있는데, 백성들에게는 굶주린 기색이 있고, 들에는 굶어 죽은 시체가 있다면 이것은 짐승을 몰아 사람을 잡아먹게 하는 것과 다르지 않으니, 정치로 사람을 죽이는 것이 칼로 죽임과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4장

혜왕이 말하였다. “과인은 백성에게 마음을 다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하내(河內)지방에 흉년이 들면 백성을 하동(河東)지방으로 이주시키고, 곡식은 하내지방으로 옮기게 하여 백성을 보살핍니다. 물론 하동지방에 흉년이 들어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웃나라의 왕들은 저처럼 하지 않는데도 백성들이 적어지지 않고 우리나라 백성들이 많아지지 않음은 어째서입니까?” 맹자가 대답하기를

“왕께서는 전쟁을 좋아하시니 비유를 들어 말씀드리겠습니다. 전투가 시작되었는데, 한 병사는 50보를 도망하였고, 또 한 병사는 100보를 도망하였습니다. 50보를 도망한 자가 100보를 도망한 자를 비웃는(以五十步笑百步) 것은 불가(不可)한 일입니다. 50보 역시 도망한 것은 같기 때문입니다. 백성들이 많아지지 않는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왕께서는 흉년이 들었는데도 나라의 창고는 열지 않고, 민간의 곡식만을 이쪽에서 저쪽으로 옮기며 길에 죽은 시체가 있어도 이것은 다만 흉년 때문이라고 합니다. 만약 왕께서 만약 진심으로 민심을 얻는 왕도정치를 하신다면 천하의 백성들이 몰려올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3장

깨비키즈 : 오십보백보

혜왕이 자신의 연못가에서 기러기와 사슴들을 바라보고 즐기며 맹자에게 현자도 이러한 것들을 즐기는지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기를,

“현자가 된 이후에야 이것을 즐길 수 있고, 그렇지 않다면 비록 이러한 것들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즐기지 못할 것입니다.(賢者而後樂此, 不賢者雖有此, 不樂也) 주나라의 문왕(文王)은 백성을 몹시 사랑하였습니다. 그러한 문왕은 백성의 힘으로 대(臺)를 짓고 연못을 만들었지만, 백성들은 문왕을 사랑하여 자식이 아버지 일에 나서듯 대와 연못을 만들었으며, 문왕이 대와 연못을 즐기는 것 또한 좋아하였습니다. 문왕이 백성과 함께 즐기었으니 진정으로 즐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라의 폭군 걸왕(桀王)이 주지육림과 보옥(寶玉)을 즐김에는 백성들이 차라리 왕과 함께 망하기를 원하였으니 어찌 즐길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2장

혜왕이 널리 현자를 초청하니 맹자가 양(梁)땅에 이르러 혜왕을 만났다. 혜왕이 맹자에게 장차 우리나라를 이(利)롭게 할 방법을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기를,

“왕은 왜 하필 이로움을 말씀하십니까? 또한 인의가 있을 뿐입니다.(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왕이 먼저 이로움을 찾는다면 그 아랫사람들도 모두 이익을 탐하게 되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인(사랑)하면서 그 어버이를 버리는 자는 없으며, 의로우면서 그 군주를 먼저 섬기지 않는 자도 없을 것이니, 이로움보다 먼저 인의를 따라야 할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