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등문공장구상"의 글 태그

신농씨의 말을 실천하는 허행이라는 사람이 등나라에 있었는데, 유가(儒家)를 배웠던 진상이라는 자가 그 동안 배운 것을 버리고 허행을 따랐다. 진상이 맹자를 만나 등나라 임금은 현명하나 백성과 함께 농사를 짓지 않으니 아직 도를 듣지 못한 것이라 말했다. 맹자가 진상에게 허행은 농사는 손수 지으면서 어찌하여 손수 길쌈은 하지 않고 쟁기는 만들지 않냐 물으니 진상이 농사지으면서 여러 장인들의 일은 같이 할 수 없다고 하였다. 맹자가 말하길,

“그렇다면 천하를 다스리는 일만은 유독 농사지으면서 할 수 있단 말입니까? ‘어떤 사람은 정신을 쓰고 어떤 사람은 육체를 쓰는데, 정신을 쓰는 사람은 남을 다스리고 육체를 쓰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다스림을 받는다. 남으로부터 다스림을 받는 사람은 남을 먹여 살리고, 남을 다스리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얻어먹는다.(或勞心, 或勞力. 勞心者治人, 勞力者治於人. 治於人者食人, 治人者食於人. 天下之通義也.)’는 말이 있으니 천하의 공통된 원칙입니다.”

하였다. – 맹자.등문공장구상.4장

등문공이 나라를 다스리는 법에 관하여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백성의 생업에 관한 일은 느긋하게 생각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民事不可緩也.) 백성은 일정한 생업(恒産)이 없으면, 한결같은 마음도 없습니다.(無恒産無恒心). 또한 만약 ‘항심’이 없다면 백성은 방탕하고, 편벽되며, 사악하고, 사치한 일 등 먹고 살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하지 못하는 일이 없게 되는데, 그 때 백성들이 죄를 지었다 하여 형벌을 주는 것은 백성을 그물질 하는 것(罔民)과 다름없습니다. 군주의 지위에 있으면서 자기 백성을 어찌 그물질하겠습니까? 그러므로 현명한 임금은 반드시 공손하고 검약하여 아랫사람들을 예로 대하며, 백성에게서 거두는 것을 절제하였습니다. 양호라는 이는 ‘부자가 되려니 어질지 못하게 되고, 어질자니 부자가 못된다.(爲富不仁矣, 爲仁不富矣.)’고 하였습니다. 다음은 상서(庠序)와 학교(學校)를 설치해 인륜(人倫)을 가르쳐야 합니다. 인륜이 위에서 밝혀지면 백성들은 서로 친밀감을 느끼게 되어 나라가 안정되고 단결하게 되어 발전하게 됩니다.”

하였다. – 맹자.등문공장구상.3장

등정공이 죽자 세자가 장례에 대해 맹자에게 물으니 삼년상을 할 것을 말하였다. 세자가 복명하여 삼년상을 하기로 결정하니 관리들이 모두 반대하였다. 세자가 다시 맹자에게 물으니 대답하길,

“군자의 덕은 바람이요, 소인의 덕은 풀입니다. 풀 위로 바람이 불면 풀이 눕는 법입니다.(君子之德, 風也. 小人之德, 草也. 草尙之風必偃.) 위에서 솔선수범 하면 아래에서는 그것을 따릅니다. 그러므로 이 일은 세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하니 세자가 따랐다. – 맹자.등문공장구상.2장

등문공이 세자가 되어 초나라로 가면서 송나라를 들러 맹자를 만났다. 맹자가 성선(性善)을 이야기 하며 꼭 요순(堯舜)을 말했다. 세자가 초나라에서 돌아갈 때 다시 맹자를 만나니, 맹자가 말하길,

“세자께서는 내 말을 의심하십니까? 무릇 도는 하나일 뿐으로, 사람은 모두 본성(本性)이 선(善)하니, 누구든 의지만 있다면 요순처럼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지금 등나라는 긴 곳을 잘라 짧은 곳에 보태면(絶長補短) 사방이 오십 리니 아직도 훌륭한 나라가 될 수 있습니다. 서(書)에 말하길, ‘약을 먹어 명현(瞑眩)이 일어나지 않으면 병은 낫지 않는다(若藥不瞑眩, 厥疾不瘳).’고 하였습니다. 원래 약은 쓰고 어지러운 법이니, 그 명현을 참아내고 노력하면 앞으로 당신의 나라에 유익함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등문공장구상.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