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한시(漢詩)』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한자 학습지 샘플 보기.

江上小堂巢翡翠 苑邊高塚臥麒麟 細推物理須行樂 何用浮名絆此身 강 위 작은 정자엔 물총새 깃들고, 동산 가 무덤 앞엔 기린상 누워있네. 삶은 모름지기 즐김 만한 것 없으니, 어찌 헛된 이름에 이 몸을 얽어매리. 細推物理 사물의 변화 이치를 추리해 봄.

태그 : 봄(春) 술(酒) 한시(漢詩)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조정에서 나오면 봄옷을 잡혀놓고, 날마다 강가에서 취하여 돌아오네. 술빚이야 가는 곳마다 늘 있지만, 인생 칠십년은 예부터 드문 일이라네. 朝回 조회에서 돌아옴. 典春衣 봄 옷을 저당 잡힘. 江頭 강 가. 尋常行處有 가는 곳 마다 늘 있음.

태그 : 봄(春) 술(酒) 한시(漢詩)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蜓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꽃 사이 호랑나비는 보이다 말다 하고, 강 위에 물잠자리는 유유히 나는구나. 봄 경치여! 세상은 모두 흘러갈 뿐이니, 잠시나마 서로 어기지 말고 즐겨보세. 穿花 꽃 사이를 뚫고 다니다. 蛺蝶 호랑나비. 深深見 때로 숨고 때론 나타나는 모양. 蜻蜓 물잠자리. 款款 유유한 모습. 流轉 빙빙 돌다.

태그 : 무상(無常) 봄(春) 한시(漢詩)

君家遠還好 未歸猶有說 而我嫁同鄕 慈母三年別 자네 친정은 멀어서 오히려 좋겠네 집에 가지 못해도 할 말이 있으니까. 나는 한동네로 시집와서도 어머니를 삼 년이나 못 뵈었다네. 이양연 – 조선후기의 문신. 사대부로서 농민들의 참상을 아파하는 민요시를 많이 지었다고 한다.

洛陽訪才子 江嶺作流人 聞說梅花早 何如此地春 낙양으로 옛 친구를 찾아갔더니, 강령땅의 유배객이 되었다 하네. 그곳은 매화꽃이 일찍 핀다는데, 이곳 낙양의 봄은 어찌하겠는가. 습유(拾遺) – 습유보과(拾遺補過)의 준말. 왕의 잘못을 지적하고 바로잡는 옛 시절의 언론직. 유인(流人) – 유배를 간 사람. 시인은 낙양으로 원씨 성을 가진 옛 친구(才子)를 만나러 갔다. 시인은 그 친구가 똑똑하고 재주 있는 친구(才子) 이니 아마도 임금의 […]

태그 : 꽃(花) 봄(春) 친구(親舊) 한시(漢詩)

淸明時節雨紛紛 路上行人欲斷魂 借問酒家何處有 牧童遙指杏花村 청명절 가벼이 비 내리니, 나그네 어쩔 줄을 모르네. 주막 어디 있는가 물으니, 멀리 살구꽃마을 가리키네.

태그 : 봄(春) 비(雨) 시화(詩畫) 유튜브 한시(漢詩)

無事此靜坐 一日似兩日 若活七十年 便是百四十 일없이 고요히 앉으니, 하루가 이틀과 같구나. 이렇게 칠십을 산다면, 백사십년 사는 셈이네. 나를 돌아볼 겨를도 없이 인생을 산다. 문득 정신을 차려보면 어느새 한 달이 훌쩍 지나고, 한해가 저문다.

태그 : 한시(漢詩)

相見時難別亦難 東風無力百花殘 春蠶到死絲方盡 蠟炬成恢淚始乾 만남도 어렵고 헤어짐도 어렵지만, 봄바람 약해지면 꽃들도 시드는법. 봄누에는 죽어서야 실뽑길 그치고, 초는 재가 되어야 눈물이 마르나니. 東風無力百花殘 : 꽃을 피게 하는 봄바람의 힘으로도 꽃이 지는 것을 막지 못하듯 우리의 이별도 어쩔 수 없음. 당나라 말엽의 시인 이상은(李商隱·812~858)은 15세 때 옥양산(玉陽山)에 올라 도교에 심취했는데, 그 때 한 여인을 만나 사랑에 빠진 […]

태그 : 꽃(花) 봄(春) 사랑 이별(離別) 한시(漢詩)

曉鏡但愁雲鬢改 夜吟應覺月光寒 蓬山此去無多路 靑鳥殷勤爲探看 아침 거울 앞 변한 머리 한숨짓고, 시를 읊는 밤 찬 달빛에 잠을 깨네. 임 사는 봉래산 찾아 갈 길 없으니, 청조야 날 위해 살며시 찾아가주렴. 蓬萊 : 신선이 산다는 蓬萊山. 多路 : 먼 길. 靑鳥 : 西王母의 심부름하는 새, 仙界와 연락하는 새.

태그 : 봄(春) 사랑 이별(離別) 한시(漢詩)

桃紅復含宿雨 柳綠更帶春煙 花落家童未掃 鶯啼山客猶眠 복사꽃 붉은빛 간밤의 비 머금고, 버들은 초록빛 아침 안개 둘렀네. 꽃잎은 지는데 아이는 쓸지 않고, 꾀꼬리 울어도 손은 아직 꿈 속.

태그 : 꽃(花) 봄(春) 술(酒) 한시(漢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