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논어』 한자 쓰기 노트 만들기

사이트의 모든 글에서 한자 학습지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한자 학습지 샘플 보기.

자공이 말하기를 “저는 남이 나에게 가(加)하기를 원하지 않는 일을 저도 남에게 가(加)하지 않으려고 합니다.(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야! 이것은 네가 미칠 바가 아니다.(賜也아 非爾所及也니라)” – 논어.공야장.11장

태그 : 공야장 논어 논어읽기

공자께서 태묘(大廟)에 들어가 매사(每事)를 물으시니, 혹자가 말하기를 “누가 추땅 사람의 아들(공자)을 일러 예(禮)를 안다고 하는가? 태묘(大廟)에 들어가 매사(每事)를 묻는구나!(孰謂鄹人之子知禮乎아 入太廟하야 每事問이온여)” 하였다.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이것이 바로 예(禮)이다.(是禮也니라)” 라고 하셨다. – 논어.팔일.15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팔일

증자가 말씀하였다. “능하면서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학식이 많으면서 적은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처럼 하고, 가득해도 빈 것처럼 하며,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여도 따지지 않는 것을, 옛적에 내 벗(안연)이 일찍이 이런 일을 실천하였다.(以能問於不能하며 以多問於寡하며 有若無하며 實若虛하며 犯而不校를 昔者에 吾友嘗從事於斯矣러니라)” – 논어.태백.5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태백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단(異端)을 전공(專攻)하면 해(害)가 될 뿐이다.(攻乎異端이면 斯害也已니라.)” – 논어.위정.16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위정

백우가 병을 앓자, 공자께서 문병하실 적에 남쪽 창문으로부터 그의 손을 잡고 말씀하셨다. “이런 병에 걸릴 리가 없는데, 운명인가보다. 이런 사람이 이런 병에 걸리다니! 이런 사람이 이런 병에 걸리다니!(亡之러니 命矣夫인저 斯人也而有斯疾也할새 斯人也而有斯疾也할새)” – 논어.옹야.8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옹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약(約)으로써 잃는 자가 적다.(以約失之者鮮矣니라)” – 논어.이인.23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익(利益)에 따라 행동하면 원망(怨望)이 많다.(子曰 放於利而行이면 多怨이니라)” – 논어.이인.12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명언명구 이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을의 <인심이> 인후(仁厚)한 것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인(仁)에 처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지혜롭다 하겠는가.(里仁이 爲美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 논어.이인.1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이인

계강자가 “백성으로 하여금 윗사람을 공경(恭敬)하고 충성(忠誠)하게 하며, 이것을 권면(勸勉)하게 하려는데, 어찌하면 되겠습니까?(使民敬忠以勸하되 如之何잇고?)” 하고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대하기를 장엄(莊嚴)하게 하면 백성들이 공경(恭敬)하고, 효도(孝道)하고 사랑하면 백성들이 충성(忠誠)하고, 이것을 잘하는 자를 들어 쓰고 이것을 잘못하는 자를 가르치면 권면(勸勉)될 것이다.(臨之以莊則敬하고 孝慈則忠하고 擧善而敎不能則勸이니라.)” – 논어.위정.20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위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仁)이 멀리 있는가? 내가 인(仁)을 하고자 하면 인(仁)이 당장 이르는 것이다.(仁遠乎哉아 我欲仁이면 斯仁至矣니라)” – 논어.술이.29장

태그 : 논어 논어읽기 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