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용(中庸)의 덕(德)이 지극하구나! 사람들이 <이 덕(德)을>소유한 이가 적은 지 오래이다.(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民鮮이 久矣니라)”
– 논어.옹야.27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용(中庸)의 덕(德)이 지극하구나! 사람들이 <이 덕(德)을>소유한 이가 적은 지 오래이다.(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인저 民鮮이 久矣니라)”
– 논어.옹야.27장
공자께서 남자(南子)를 만나시자, 자로가 기뻐하지 않았다. 공자께서 맹세하여 말씀하셨다.
“내 맹세코 잘못된 짓을 하였다면 하늘이 나를 버리시리라! 하늘이 나를 버리시리라!(予所否者인댄 天厭之, 天厭之시리라)”
– 논어.옹야.26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가 문(文)에 대하여 널리 배우고 예(禮)로써 요약(約) 한다면 또한 <도(道)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君子博學於文이요 約之以禮면 亦可以弗畔矣夫인저)”
– 논어.옹야.25장
재아가 물었다.
“인자(仁者)는 비록 우물에 사람이 빠졌다고 말해 주더라도 <우물에 빠진 사람을 구제하고자 하여> 따라 우물에 들어가겠습니다.(仁者는 雖告之曰 井有仁『[人]』焉이라도 其從之也로소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찌 그렇게 하겠는가. 군자(君子)는 <우물까지> 가게 할 수는 있으나 빠지게 할 수는 없으며, <이치에 있는 말로> 속일(欺) 수는 있으나 <터무니없는 말로> 속일(罔) 수는 없는 것이다.(何爲其然也리오 君子는 可逝也언정 不可陷也며 可欺也언정 不可罔也니라)”
– 논어.옹야.24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모난 술그릇이 모나지 않으면 모난 술그릇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모난 술그릇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觚不觚면 觚哉觚哉아)”
– 논어.옹야.23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齊)나라가 한 번 변화하면 노(魯)나라에 이르고, 노(魯)나라가 한 번 변화하면 도(道)에 이를 것이다.(齊一變이면 至於魯하고 魯一變이면 至於道니라)”
– 논어.옹야.22장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지자(智者)는 물을 좋아하고 인자(仁者)는 산을 좋아하며, 지자는 동적(動的)이고 인자는 정적(靜的)이며, 지자는 낙천적(樂天的)이고 인자는 장수(長壽)한다.(知者는 樂水하고 仁者는 樂山이니 知者는 動하고 仁者는 靜하며 知者는 樂하고 仁者는 壽니라)”
– 논어.옹야.21장
번지가 지(智)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한다면 지(智)라 말할 수 있다.(務民之義요 敬鬼神而遠之면 可謂知矣니라)”
다시 인(仁)에 대하여 묻자, 또 말씀하셨다.
“인자(仁者)는 어려운 일을 먼저 하고 얻는 것을 뒤에 하니, 이렇게 한다면 인(仁)이라고 말할 수 있다.(仁者先難而後獲이면 可謂仁矣니라)”
– 논어.옹야.20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중인(中人) 이상은 높은 것을 말해 줄 수 있으나, 중인 이하(以下)는 높은 것을 말해 줄 수 없다.(中人以上은 可以語上也어니와 中人以下는 不可以語上也니라)”
– 논어.옹야.19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는 자가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가 즐거워하는 자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요 好之者不如樂之者니라)”
– 논어.옹야.18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