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경(詩經) 3백 편의 뜻을 한 마디의 말로 대표할 수 있으니,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말이다.(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恥니라.)”

– 논어.위정.2장

신농씨의 말을 실천하는 허행이라는 사람이 등나라에 있었는데, 유가(儒家)를 배웠던 진상이라는 자가 그 동안 배운 것을 버리고 허행을 따랐다. 진상이 맹자를 만나 등나라 임금은 현명하나 백성과 함께 농사를 짓지 않으니 아직 도를 듣지 못한 것이라 말했다. 맹자가 진상에게 허행은 농사는 손수 지으면서 어찌하여 손수 길쌈은 하지 않고 쟁기는 만들지 않냐 물으니 진상이 농사지으면서 여러 장인들의 일은 같이 할 수 없다고 하였다. 맹자가 말하길,

“그렇다면 천하를 다스리는 일만은 유독 농사지으면서 할 수 있단 말입니까? ‘어떤 사람은 정신을 쓰고 어떤 사람은 육체를 쓰는데, 정신을 쓰는 사람은 남을 다스리고 육체를 쓰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다스림을 받는다. 남으로부터 다스림을 받는 사람은 남을 먹여 살리고, 남을 다스리는 사람은 남으로부터 얻어먹는다.(或勞心, 或勞力. 勞心者治人, 勞力者治於人. 治於人者食人, 治人者食於人. 天下之通義也.)’는 말이 있으니 천하의 공통된 원칙입니다.”

하였다. – 맹자.등문공장구상.4장

자공이 말하길,

“가난하되 아첨함이 없으며, 부(富)하되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貧而無諂하며 富而無驕하면 何如하니잇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좋다. 그러나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며, 부하면서도 예(禮)를 좋아하는 자만은 못하다.(可也나 未若貧而樂하며 富而好禮者也니라.)”

하였다. 자공이 말하길,

“시경(詩經)》에 ‘절단(切斷)해 놓은 듯하며, 다시 그것을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며, 다시 그것을 간 듯하다.’ 하였으니, 이것을 말함일 것입니다.(詩云如切如磋하며 如琢如磨라하니 其斯之謂與인저)”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賜-자공)는 비로소 더불어 시(詩)를 말할 만하구나! 지나간 것을 말해주자 올 것(말해주지 않은 것)을 아는구나.(賜也는 始可與言詩已矣로다 告諸往而知來者온여)”

하였다. – 논어.학이.15장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君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할 때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민첩히 하고 말을 삼가며, 도(道)가 있는 이에게 찾아가서 질정(質正)한다면 학문(學問)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君子는 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요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하였다. – 논어.학이.14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