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한자성어"의 글 태그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음. 스스로 마음을 굳게 다지며 최선을 다하여 힘쓰고, 쉬지 않고 노력함.

天行健, 君子以自强不息.
천체의 운행은 건실하다. 군자는 그것으로써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는다.

– 역경.건괘

등(滕)문공이 맹자에게 ‘제나라 사람이 우리의 이웃 땅인 설(薛)땅을 빼앗고 성을 쌓아 우리 나라를 핍박(逼迫)하고자 하니 몹시 두렵습니다. 어찌하면 좋겠습니까?’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옛날 주 문왕의 할아버지 태왕이 ‘빈’나라에 살았는데, 이민족이 침략하자 그곳을 떠나 기산아래에서 살았으니, 그곳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어서였습니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선행을 행하고 기업(基業)을 창건하고 전통을 후세에 전하여 계속할 수 있게 하여 마침내 그 자손이 천하를 소유할 수 있었으니, 이것이 바로 하늘의 이치입니다. 지금 제나라를 어찌할 수 없다면 임금께서는 다만 힘써 선을 행할 뿐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14장

등(滕)문공이 맹자에게 ‘등나라는 작은 나라로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 있는데, 어느 나라를 섬겨야 합니까?’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그러한 계책은 제가 언급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굳이 말해야 한다면, 한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못을 깊이 파고 성을 높이 쌓아 백성과 더불어 지키되, 백성들이 목숨을 바치고 떠나가지 않는다면 한번 해볼 만한 일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13장

겉뜻 : 쓴 것이 다하면 단것이 온다.
속뜻 : 어렵고 힘든 일이 지나면 즐겁고 좋은 일이 온다.

5일 삼성 사보인 ‘삼성앤유’가 삼성그룹 임직원 1,429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삼성맨’들은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의미의 고진감래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았다.
소진도 일시의 곤란을 겪으며 뜻을 가다듬어 필경 육국상인을 허리에 띄였다 하니 나도 재조와 담력을 가지고 신고를 견디어 큰 사업을 성취할지니 속담에 이르되 고진감래라 하고 궁한즉 통한다 하니 좋은 때 돌아오기를 기다릴 지로다. – 이인직,설중매

겉뜻 : 섶에 누워 자고 쓸개를 맛보다.
속뜻 : 원수를 갚기 위해 괴롭고 어려운 일을 참고 견딤.

춘추시대, 월왕 구천과 싸워 크게 패한 오왕 합려는 임종(臨終)에 이르러 아들 부차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하였다. 부차는 복수를 위해 섶 위에서 잠을 자며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한 아버지의 유명을 외치게 하며,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월왕 구천은 먼저 오나라를 공격하였으나 대패하여 오나라 군사들에게 포위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때 구천은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목숨을 구걸하였는데, 오나라의 중신(重臣) 오자서는 ‘후환을 남기지 않으려면 지금 구천을 쳐야 한다.’고 말했으나, 부차는 구천을 살려주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이 된 월나라로 돌아와 굴욕을 잊지 않기 위해 항상 곁에다 쓸개를 놔두고 쓴맛을 맛보며 복수를 다짐했고, 이로부터 20년이 흘러 월나라 왕 구천은 오나라를 공격하여 오왕 부차를 마침내 굴복시키고 굴욕을 씻었다.

유사성어 : 切齒腐心

겉뜻 : 하나를 얻으려면 다른 하나를 놓아야 함.
속뜻 : 큰 것을 얻기 위해서는 작은 것을 버리는 지혜가 필요함.

약 1 천년 전에 중국 송나라 시절, 유명한 정치가 사마광이라는 사람의 어릴 적 이야기에서 전해졌다고 합니다. 어느 날 한 아이가 커다란 장독대에 빠져 허우적거리고 있었는데, 어른들이 사다리 가져와라. 밧줄 가져와라. 요란법석을 떠는 동안 물독에 빠진 아이는 숨이 넘어갈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 때 어린 사마광이 돌멩이를 가져와 장독을 깨트려 아이의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장독을 깨뜨리지 않고서 아이를 구하려 한 어른들과 달리, 사마광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 장독쯤은 과감히 버릴 줄 알았던 것입니다.

덧없는 인생. 변화가 심하여 아무 보장이 없는 인생.

우리는 보통(普通) 고정(固定)된 세계관(世界觀)과 고정된 자아관(自我觀)을 가지고 있다. 세상(世上)이 영원(永遠)할 것이라 믿고, 나의 영혼(靈魂)도 불변(不變)할 것이라 믿는다. 그런 믿음은 나로 하여금 세상에서 영원한 부(富)를 쌓게 만들고, 내 영혼의 안식(安息)을 찾아 종교(宗敎)에 매달리게 만든다. 하지만 실제(實際) 세상과 자아는 그렇지 않다. 세상은 고정되지 않고 무상(無常)하다.

– 채사장.열한계단.웨일북(whalebooks)|2016.12.10.

제선왕이 맹자를 별궁인 설궁(雪宮)에서 만나 ‘현자도 이런 즐거움이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옛날에 제나라 경공이 안자(晏子)에게 묻기를 ‘내가 전부산과 조무산을 구경하고 남쪽으로 낭야에 가고자 하는 어떻게 하면 선왕들의 유람과 비견될 수 있는가?’하고 물으니 안자가 ‘천자가 제후국에 가는 것을 순수(巡狩)라 하는데, 순행(巡行)한다는 뜻입니다. 제후가 천자국에 가는 것을 술직(述職)이라 하는데, 자기가 맡은 바를 편다는 뜻입니다. 이 모두는 일이 아닌 것이 없어, 봄에는 나가서 경작하는 상태를 살펴 부족한 것을 보충해 주며, 가을에는 수확하는 상태를 살펴 부족한 것을 도와줍니다. 하나라 속담에 ‘우리 임금이 유람하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쉬며, 우리 임금님이 즐기지 않으면 우리들이 어떻게 도움을 받으리오. 한 번 유람하고 한 번 즐김이 제후들의 법도가 된다.’ 하였습니다.’ 이처럼 백성들의 즐거움을 즐거워하고, 백성들의 근심을 근심한다면,(樂民之樂, 憂民之憂) 즐거워하기를 온 천하로써 하고 근심하기를 온 천하로써 하는 것이니, 이렇게 하고도 왕 노릇하지 못하는 자는 없을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4장

평범한 사내의 섣부른 용기.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제선왕이 ‘이웃나라와 사귐에 도(道)가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맹자는 ‘인자(仁者)는 대국으로 소국을 섬길 수 있으니, 소국이 비록 불공(不恭)하여도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소국으로 대국을 섬길 수 있으니, 의리(義理)에 밝고 시세(時勢)를 잘 알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제선왕이 말하길 ‘저는 용맹을 좋아하여 대국을 섬기거나 약소국을 구휼(救恤)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니 맹자가 말하길,

“칼을 만지며 상대방을 노려보며 말하길 ‘네가 감히 어찌 나를 이기겠는가?’ 하는 것은 필부의 용(匹夫之勇)입니다. 왕께서는 이와 같은 작은 용(勇)을 버리고, 용(勇)을 크게 하십시오. 문왕과 무왕은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셨습니다(一怒而安天下之民). 왕께서도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신다면 백성들은 왕께서 행여 용(勇)을 좋아하지 않을까 걱정할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3장

제선왕이 세속적인 음악을 좋아한다고 하니, 맹자가 말하길,

“세속적인 음악이라도 괜찮습니다. 다만 왕께서 음악을 즐기실 때, 백성들이 불평하지 않고 왕의 악기소리를 듣고 모두 기뻐하는 기색이 있어 ‘우리 왕께서 건강하시구나, 어찌 저리 북을 잘 치실까.’ 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하기 때문입니다(此無他, 與民同樂也). 백성들과 함께 더불어 즐길 수 있다면, 옛 음악이 아니더라도 나라가 잘 다스려져 왕 노릇 하실 수 있습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