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명언명구"의 글 태그

용서(容恕)는 두 방향으로 나 있는 길이다. 누군가를 용서할 때 우리는 우리 자신도 용서하게 된다. 타인(他人)에게 관대(寬大)하면 자신의 실수(失手)를 받아들이기가 더 쉽다. 그리하여 죄책감(罪責感)이나 쓰라림 없이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 마크툽.글 파울로 코엘료.그림 황중환.역자 최정수.자음과모음.2016.02.29.

옛날에 증자는 자양에게 말하길,

“그대는 용기를 좋아하는가? 내가 일찍이 선생님(공자)으로부터 큰 용기에 대해 들었다. 스스로 돌이켜보아 옳지 않으면 비록 하찮은 사람이라도 어찌 두려워하지 않겠으며, 스스로 돌이켜보아 옳다면 비록 천만명이라도 두렵지 않다.(子好勇乎? 吾嘗聞大勇於夫子矣. 自反而不縮, 雖褐寬博, 吾不惴焉. 自反而縮, 雖千萬人, 吾往矣.)”

– 맹자.공손추장구상.2장

어떤 전통(傳統)에서는 제자들이 일 년에 하루 또는 필요한 경우 일주일에 한 번 집에 있는 물건들을 정리(整理)한다. 물건들을 일일이 손으로 만지면서 “나에게 이 물건이 정말로 필요할까?”라고 큰 소리로 묻는다. 서가에 꽂혀 있는 책들을 꺼내들고 “언젠가 내가 이 책을 다시 읽을까?”라고 묻는다. 간직해둔 기념품(紀念品)들을 찬찬히 살펴보며 “이 물건에 얽힌 기억이 내게 여전히 중요한가?”라고 묻는다. 옷장을 열고, “내가 이 옷을 입지 않은 지 얼마나 되었지? 이 옷이 나에게 정말로 필요한가?”라고 묻는다. (중략)
오래된 물건들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 새로움이 차지할 공간(空間)이 없어진다.

– 마크툽.글 파울로 코엘료.그림 황중환.역자 최정수.자음과모음.2016.02.29

小勇者 血氣之怒也 大勇者 理義之怒也 血氣之怒 不可有 理義之怒 不可無.
작은 용기는 혈기에서 나오는 노여움이고, 큰 용기는 의리(義理)에서 나오는 노여움이다. 혈기에서 나오는 노여움은 있어서는 안되고, 의리에서 나오는 노여움은 없어서는 안된다.

– 장경부.양혜왕장구하3장

정치의 근본은 백성이 걱정 없이 먹고 살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근본이다. 맹자는 백성은 일정한 생업(恒産)이 없으면, 한결같은 마음도 없다고 보았다.(無恒産無恒心). 또한 만약 ‘항심’이 없다면 백성은 방탕하고, 편벽되며, 사악하고, 사치한 일 등 먹고 살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하지 못하는 일이 없게 되는데, 그 때 백성들이 죄를 지었다 하여 형벌을 주는 것은 백성을 그물질 하는 것(罔民)과 다름없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7장

그대는 재물(財物)과 명성(名聲)과 명예(名譽)는 최대한(最大限) 많아지도록 마음을 쓰면서, 지혜(智慧)와 진리(眞理)에 대해서 또 자신(自身)의 혼(魂)이 최대한 훌륭해지도록 하는데 대해서는 어찌 마음을 쓰지 않습니까?

– 플라톤.소크라테스의 변론.

속히 성취(成就)하려는 마음 때문에 고전(古典)을 읽을 겨를이 없고, 지금(只今) 읽는 글 또한 정밀(精密)하게 이해(理解)할 틈이 없으니, 몸에 무르익도록 할 시간(時間)은 더더욱 없는 것이다. 생각은 두서(頭緖)없이 매양 무엇엔가 쫓기는 듯하여, 처음에는 여러 책(冊)을 널리 읽고자 한 것이었지만, 점점 황망(慌忙)하여 갈래를 잃어버리고 만다. 결국(結局)에 가선 처음부터 아무것도 읽어보지 않는 사람과 무엇 하나 다를 바 없는 꼴이 되어버린다.

– 자성록.이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