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2017, 8월 18일" 글 보관함

‘새옹지마(塞翁之馬)’는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게 인생’이라는 뜻으로, 인생에 있어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우며 좋은일이 나쁜일이 되기도 하고, 나쁜일이 좋은일이 되기도 한다는 뜻이다.

현재 자신의 처지가 좋지 않은 상황이나 앞으로 좋은쪽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의미로 쓰거나 또는 지금은 출세가도(出世街道)를 달리고 있으나 반대로 화(禍)를 당했을 경우 쓰인다.

인생사 새옹지마, 세상일이란 새옹지마 등의 형태로 흔히 활용된다. 유사성어로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이 있다. 그러나 전화위복은 나쁜일이 변하여 좋은 일이 되다라는 뜻이니, 그 반대의 경우에는 활용하기 어렵다.

새옹지마의 한자는 塞:변방(새), 翁:늙은이(옹), 之:어조사(지), 馬:말(마)이다. 어조사’지’는 ‘~의’라는 뜻이다. 새옹지마를 풀이하면 ‘변방 노인의 말(馬)’이라는 뜻이 된다.

옛날 중국 북쪽 변방에 말을 소중히 기르는 노인이 있었는데,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사람들이 다 이를 안타깝게 여겼으나 수개월이 지난 뒤 그 말이 오랑캐 땅의 준마를 데리고 돌아왔다. 사람들이 모두 이 일을 축하하였으나 노인의 아들이 말을 타다 떨어져 다리뼈가 부러졌다. 사람들이 모두 또 다시 이를 안타깝게 여기며 위로하였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오랑캐들이 쳐들어왔을 때 노인의 아들만은 다리를 저는 까닭에 징병되지 않아 목숨을 보존할 수 있게 되어 노인이 기뻐했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어부의 이익, 당사자가 아닌 제 삼자가 이득을 봄.

중국 전국 시대일이다. 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 전쟁준비를 하자, 연나라왕은 조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전쟁을 일으키지 말 것을 부탁하려 하였다. 연나라로 간 사신은 왕에게 “오늘 연나라로 오는 길에 역수(연, 조의 국경)를 지나다가 조개가 조가비를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때, 갑자기 도요새가 날아와 부리로 조갯살을 쪼니, 조개는 조가비를 굳게 닫고 부리를 놓아주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도요새가 ‘내 부리를 놓지 않으면 너는 말라죽고 말 것이다’라고 하자, 조개도 ‘너야말로 내가 놓아주지 않는다면 굶어 죽고 말 것이다’하며 다투었습니다. 그러다 때 마침 이곳을 지나가던 어부에게 그만 둘 다 잡혀 버리고 말았습니다. 왕께서는 지금 연나라를 치려고 하십니다만, 만약 연과 조나라가 싸워 힘이 약해진다면 강대한 진(秦)나라가 어부가 되어 두나라가 모두 진나라의 것이 될 것입니다.”하였다.

– 전국책
유사성어 : 방휼지쟁(蚌鷸之爭), 견토지쟁(犬兎之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