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럿을 각각 순서로 구분하여 벌인 것.
공원(公園)의 놀이기구(機具)를 차례를 기다려 탔다.
공원(公園)의 놀이기구(機具)를 차례를 기다려 탔다.
불교(佛敎)에서는 살생을 금지(禁止)한다.
의병을 일으켜 외세(外勢)의 침략(侵略)에 항거(抗拒)하다.
나무에 올라 고기를 얻으려고 함.
①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
② 도저히 되지 않을 일을 고집스럽게 추구함.
춘추시대에 제나라 환공과 진나라 문공이 서로 패권을 다투었는데,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宣王)은 패권을 잡고 싶어 맹자에게 제환공과 진문공의 치적(治績)에 대해 들려달라고 했다. 그러자 맹자가 묻기를
“임금께서는 혹 전쟁을 일으켜 백성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이웃 나라 제후들과 원수를 맺기를 원하십니까? 폐하의 큰 뜻은 진(秦)나라나 초(楚)나라 등을 허리 굽히게 하고 천하를 통일하여 사방의 오랑캐를 어루만지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패도와 같은 무력으로 그것을 얻으려 하는 것은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려는 것과 같습니다. 나무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은 목적을 이루지 못해도 후난은 없지만, 무력으로 뜻을 이루려면 백성(百姓)을 잃고 나라를 망치는 재난이 따라 올 것입니다. 고기를 잡으려면 바다로 가야 하듯, 천하를 통일하려면 왕도를 따르십시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7장
춘추시대에 제나라 환공과 진나라 문공이 서로 패권을 다투었는데,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宣王)은 다시 패권을 잡고 싶어 맹자에게 제환공과 진문공의 치적(治績)에 대해 들려달라고 했다. 그러나 맹자는 공자의 문도(門徒)들 가운데에는 환공이나 문공의 일에 대해서 말한 사람이 없어 후세에 전해지지 않아 자신은 듣지 못했다고 하며, 기어이 들으시겠다면 왕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다고 하였다. 제선왕이 맹자에게 자신도 백성을 위하는 왕도정치를 할 수 있는가 묻자 맹자가 답하길,
“3000근을 들 수 있는 사람이 새의 깃털 하나를 들지 못한다 하고, 시력은 가을에 짐승의 털끝- 추호(秋毫) – 까지 살필 수 있으면서 수레에 실은 장작더미는 보지 못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하지 않는 것’ 이지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不爲也 非不能也). 일전에 왕께서 어떤 자가 소를 새로 완성한 종의 틈에 피를 바르기 위해 데려가는 것을 보고, ‘소가 두려워 벌벌 떨며 사지(死地)로 나아감을 차마 볼 수 없으니 놓아주고 양으로 바꾸라.’ 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소와 양이 죽는 것은 비록 같으나, 왕께서 소는 보았고 양은 보지 못하였기에 소에 대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일었던 것입니다. 왕의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짐승에까지 미쳤으나, 백성에게 이르지 않음은 왕께서 하지 않아서이지 할 수 없어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왕께서 왕도정치를 하지 않는 것일지언정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상.7장
‘가을철 짐승의 털끝’이라는 뜻.
털이 있는 짐승은 가을 무렵이면 털갈이를 하면서 오래 묵어 거칠어진 털은 빠지고 가늘고 고운 털로 갈아입는다. ‘추호지말’은 가을을 맞이하여 새로 돋은 짐승 터럭의 끝부분처럼 ‘매우 가는 것’, ‘아주 작은 것’을 비유하는 말로 ‘사과할 마음은 추호도 없다.’, ‘그 사람과 다시 만날 생각은 추호도 없다.’처럼 쓰인다.
太山之高 背而不見
태산이 아무리 높아도 등지고 있으면 볼 수 없고,
秋毫之末 視之可察
가을철 짐승의 털끝이라도 잘 살피면 볼 수 있다.
– 회남자
明足以察秋毫之末 而不見輿薪
시력은 ‘추호지말’을 살필 수 있는데, 수레에 실은 땔나무를 보지 못한다.
-맹자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반드시 좀 벌레를 통해서이고, 담장이 무너지는 것도 반드시 틈을 통해서이다. 그러나 비록 나무에 좀 벌레가 있더라도 강한 바람이 불지 않으면 부러지지 않는 것이고, 벽에 비록 틈이 생겼더라도 큰 비가 내리지 않으면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
木之折也必通蠹, 牆之壞也必通隙. 然木雖蠹, 無疾風不折, 牆雖隙無大雨不壞.
– 한비자.망징편
몸이 고달프더라도 마음이 편하다면 그 일을 하고, 이익이 적더라도 올바른 것이라면 그 일을 한다.
– 순자
왕도(王道)와 패도(覇道)는 맹자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왕도(王道)는 맹자가 추구한 이상적인 정치형태로서, 덕으로 다스리는 덕치(德治)라고도 할 수 있고, 맹자가 말하는 가장 대표적인 덕은 백성을 피붙이처럼 사랑하는 인(仁)이라는 점에서 인정(仁政)이라고도 표현된다. 패도는 천자(天子)의 힘이 쇠미(衰微)해진 춘추시대 이후부터, 패자와 힘이 있는 제후(諸侯)가 실력주의로 제후를 거느리고 백성을 다스리는 정치를 말한다. 현대에 들어서는 무력이나 권모술수(權謀術數)로써 나라를 다스리거나 공리(功利)만을 꾀하는 일을 뜻하기도 한다.
‘왕도(王道)가 없다’에서 왕도의 의미는 ‘어떤 어려운 일을 해 나가기 위한 쉬운 방법이나 지름길’을 의미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이 그리스의 학자(學者)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에게 기하학(幾何學)을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方法)이 없냐고 묻자 유클리드가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라고 대답(對答)했다는 서양(西洋)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 것이다. 여기서 유클리드가 언급(言及)한 왕도(Royal Road)는 아케메네스 왕조(王朝) 페르시아 제국(帝國)이 만든 도로(道路)를 가리키는 것이다. 페르시아는 제국(帝國)의 서쪽 끝에 있는 사르디스에서 수도(首都)인 수사에 이르는 일종(一種)의 고속도로(高速道路)를 만들었고, 요소(要素)마다 역참(驛站)과 수비대(守備隊)를 갖추어 당시(當時) 도보(徒步) 여행(旅行)으로 90일 걸리던 거리를 파발마(擺撥馬)로 7일만에 주파(走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유클리드는 학문(學問)을 하는 데에는 이처럼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을 만들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출처 : 나무 위키.https://namu.wiki/w/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