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2017, 4월 17일" 글 보관함

평범한 사내의 섣부른 용기.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제선왕이 ‘이웃나라와 사귐에 도(道)가 있습니까?’하고 물으니 맹자는 ‘인자(仁者)는 대국으로 소국을 섬길 수 있으니, 소국이 비록 불공(不恭)하여도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소국으로 대국을 섬길 수 있으니, 의리(義理)에 밝고 시세(時勢)를 잘 알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제선왕이 말하길 ‘저는 용맹을 좋아하여 대국을 섬기거나 약소국을 구휼(救恤)하기가 어렵습니다.’ 하니 맹자가 말하길,

“칼을 만지며 상대방을 노려보며 말하길 ‘네가 감히 어찌 나를 이기겠는가?’ 하는 것은 필부의 용(匹夫之勇)입니다. 왕께서는 이와 같은 작은 용(勇)을 버리고, 용(勇)을 크게 하십시오. 문왕과 무왕은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셨습니다(一怒而安天下之民). 왕께서도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신다면 백성들은 왕께서 행여 용(勇)을 좋아하지 않을까 걱정할 것입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3장

제선왕이 ‘문왕의 동산은 사방 70리 이고, 저의 동산은 사방 40리 인데, 백성들이 오히려 크다고 생각함은 어째서입니까?’ 하고 물으니, 맹자가 대답하길,

“문왕의 동산에서는 백성들이 나무를 하거나, 꿩과 토끼를 잡을 수 있었으니 백성들이 작다고 여긴 것입니다. 신이 처음 제나라에 들어올 때, 제나라에서 크게 금지하는 것을 물으니 ‘동산에 있는 사슴을 죽이는 자는 살인의 죄로 다스린다.’라고 들었습니다. 이는 나라 가운데 사방 40리의 함정을 만든 것이니(是方七十里 爲阱於國中) 백성들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습니까?”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2장

제선왕이 세속적인 음악을 좋아한다고 하니, 맹자가 말하길,

“세속적인 음악이라도 괜찮습니다. 다만 왕께서 음악을 즐기실 때, 백성들이 불평하지 않고 왕의 악기소리를 듣고 모두 기뻐하는 기색이 있어 ‘우리 왕께서 건강하시구나, 어찌 저리 북을 잘 치실까.’ 한다면, 이는 다른 이유가 아니라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하기 때문입니다(此無他, 與民同樂也). 백성들과 함께 더불어 즐길 수 있다면, 옛 음악이 아니더라도 나라가 잘 다스려져 왕 노릇 하실 수 있습니다.”

하였다. – 맹자.양혜왕장구하.1장

綠波春浪滿前陂
極目連雲罷亞肥
更被鷺鷥千點雪
破烟來入畫屛飛
봄의 초록 물결 앞 물가에 가득하여,
저끝 구름 닿은 곳까지 벼가 자라네.
훨훨 나는 백로 흩날리는 눈송이처럼,
안개 헤치며 그림 병풍으로 날아든다.

*罷亞 : 벼의 이름. 원문은 ‘䆉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