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한자성어"의 글 태그

: 못에 임하여 글씨를 배움에 연못의 물이 모두 검어졌다

중국 한나라(後漢)의 서예가인 장지(張芝)는 장초(章草:草書의 한 가지)에 뛰어나 초성(草聖)이라 불리었다. 장지는 서예를 배움에 있어 자만하거나 게을리 하지 않고, 매우 부지런히 노력하고 꾸준히 익혔다고 전하는데, 그는 생애 동안 속세를 피하여 오로지 서도(書道)를 벗 삼았으며, 눈에 보이는 모든 것에 글씨를 썼다고 한다. 베가 있으면 거기에 글씨를 썼고, 연못가의 작은 돌에도 글씨를 쓰고서는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 하였다고 한다. 또한 그가 붓과 벼루를 씻은 못 안의 물은 검은 색이 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여기서 임지학서 지수진묵(臨池學書 池水盡墨) 고사가 탄생하였다고 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自立)하였고, 마흔 살에 사리(事理)에 의혹(疑惑)하지 않았고, 쉰 살에 천명(天命)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法度)에 넘지 않았다.(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하되 不踰矩호라.)”

– 논어.위정.4장

자공이 말하길,

“가난하되 아첨함이 없으며, 부(富)하되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貧而無諂하며 富而無驕하면 何如하니잇고)”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좋다. 그러나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며, 부하면서도 예(禮)를 좋아하는 자만은 못하다.(可也나 未若貧而樂하며 富而好禮者也니라.)”

하였다. 자공이 말하길,

“시경(詩經)》에 ‘절단(切斷)해 놓은 듯하며, 다시 그것을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며, 다시 그것을 간 듯하다.’ 하였으니, 이것을 말함일 것입니다.(詩云如切如磋하며 如琢如磨라하니 其斯之謂與인저)”

하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賜-자공)는 비로소 더불어 시(詩)를 말할 만하구나! 지나간 것을 말해주자 올 것(말해주지 않은 것)을 아는구나.(賜也는 始可與言詩已矣로다 告諸往而知來者온여)”

하였다. – 논어.학이.15장

일곡지사란 한 부분에 치우쳐 있거나 어떤 사물의 한 구석만을 아는 사람을 말한다. 사람은 어떤 시대에 어느 곳에서 살았고,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에 영향을 받기 마련인데 장자는 그러한 경우를 우물 안의 개구리와 여름벌레와 곡사(曲士)에 비하여 말하고 있다.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하여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공간의 구속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 여름에 대해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시간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뚤어진 선비에게 도에 관해 얘기를 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가르침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曲士不可以語於道者, 束於敎也.)”

– 장자(외편) 제17편 추수

태산이 울고 움직이더니 쥐 한 마리가 나옴. 무엇을 크게 떠벌리기만 하고 실제의 결과는 작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래 : “산들이 산고(産苦) 끝에 우스꽝스러운 생쥐 한 마리를 낳았다” – 호라티우스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은 고대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Horatius Flaccus, Quintus, B.C.65~B.C.8)가 쓴 시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가 후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으니, 학문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신(忠信)을 주장하며, 자기만 못한 자를 벗 삼으려 하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아야 한다.(君子不重則不威니 學則不固니라. 主忠信하며, 無友不如己者요 過則勿憚改니라.)”

하였다. – 논어.학이.8장

자신의 마음과 몸을 수양(修養)하기 위하여 하는 학문을 말함. 위인지학(爲人之學)은 이와 반대로 남에게 인정받고 남에게 과시(誇示)하기 위하여 하는 학문을 말함.

“옛날 배우는 자들은 자신을 위하였는데, 지금에 배우는 자들은 남을 위하여 한다.(古之學者는 爲己러니 今之學者는 爲人이로다.)”

– 논어.헌정.25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