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논어"의 글 태그

증자가 말씀하였다.

“선비는 도량이 넓고 뜻이 굳세지 않으면 안 된다. 책임이 무겁고 길이 멀기 때문이다. 군자는 인(仁)으로써 자기의 책임을 삼으니 막중하지 않은가? 죽은 뒤에야 끝나는 것이니 멀지 않은가?”(士不可以不弘毅니 任重而道遠이니라. 仁以爲己任이니 不亦重乎아 死而後已니 不亦遠乎아.)”

– 논어.태백.7장

증자가 말씀하였다.

“육척(六尺)의 어린 임금을 맡길 만하고, 백리(百里-제후국)를 다스릴 것을 부탁할 만하며, 중대한 일에 임하였을 때 <그 절개를> 빼앗을 수 없다면, 군자다운 사람인가? 군자다운 사람이다.(可以託六尺之孤하며 可以寄百里之命이요 臨大節而不可奪也면 君子人與아 君子人也니라)”

– 논어.태백.6장

증자가 말씀하였다.

“능하면서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학식이 많으면서 적은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처럼 하고, 가득해도 빈 것처럼 하며,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여도 따지지 않는 것을, 옛적에 내 벗(안연)이 일찍이 이런 일을 실천하였다.(以能問於不能하며 以多問於寡하며 有若無하며 實若虛하며 犯而不校를 昔者에 吾友嘗從事於斯矣러니라)”

– 논어.태백.5장

증자가 병환이 있자, 맹경자가 문병을 왔다. 증자가 말씀하였다.

“새가 장차 죽을 때에는 울음소리가 애처롭고, 사람이 장차 죽을 때에는 그 말이 착한 법이다. 군자가 귀중히 여기는 도가 세 가지 있으니, 용모를 움직일 때에는 사나움과 태만함을 멀리하며, 얼굴빛을 바로잡을 때에는 성실함에 가깝게 하며, 말과 소리를 낼 때에는 비루 함과 도리에 위배되는 것을 멀리하여야 한다. 제기(祭器)를 다루는 등의 (소소한) 일은 유사(有司-담당자)가 있어 하는 것이다.”(鳥之將死에 其鳴也哀하고 人之將死에 其言也善이니라. 君子所貴乎道者三이니 動容貌에 斯遠暴慢矣며 正顔色에 斯近信矣며 出辭氣에 斯遠鄙倍矣니 籩豆之事則有司存이니라.)

– 논어.태백.4장

증자가 병이 위중하자, 제자들을 불러 말씀하였다.

“<이불을 걷고> 나의 발과 손을 보아라. 시경에 이르기를 ‘전전(戰戰)하고 긍긍(兢兢)하여, 깊은 못에 임한 듯이 하고, 엷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하라.’하였으니, 이제서야 나는 <이 몸을 훼상시킬까 하는 근심에서> 면한 것을 알겠구나, 소자(小子-제자)들아!(啓予足하며 啓予手하라 詩云 戰戰兢兢하여 如臨深淵하며 如履薄氷이라하니 而今而後에야 吾知免夫로라 小子아)”

– 논어.태백.3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고, 삼가되 예(禮)가 없으면 두렵고, 용맹스럽되 예(禮)가 없으면 난을 일으키고, 강직하되 예(禮)가 없으면 너무 각박해지게 된다. 군자(君子-爲政者)가 친척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이 인(仁)에 흥기하고,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야박해지지 않는다.”(恭而無禮則勞하고 愼而無禮則葸하고 勇而無禮則亂하고 直而無禮則絞니라. 君子篤於親이면 則民興於仁하고 故舊不遺면 則民不偸니라)”

– 논어.태백.2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백(泰伯)은 지극한 덕이 있다고 이를 만하다. 세 번 천하를 사양하였으나 백성들이 그 덕을 칭송할 수 없게 하였구나!(泰伯은 其可謂至德也已矣로다 三以天下讓하되 民無得而稱焉이온여)”

– 논어.태백.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