賢人多財損其志, 愚人多財益其過.
어진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그의 뜻을 손상시키고,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그의 허물을 더한다.
"2018, 12월 9일" 글 보관함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다’라는 뜻으로, 산수(山水)의 경치(景致)를 좋아하는 것을 비유(譬喩)하는 말이다. 《논어(論語)》에서 유래되었다.
장난으로 아무 데나 함부로 글자를 쓰는 일을 낙서라고 한다.
낙서라는 낱말은 떨어질’락(落)’과 글’서(書)’가 합쳐져 이뤄진 것으로 ‘떨어진 글’이라는 뜻이다.
이 낙서는 일본 에도(江戶) 시대 때 힘없는 백성들의 항거수단으로 민초(民草)들의 소리를 적은 쪽지를 길거리에 슬쩍 떨어뜨려 놓은 것을 ‘오토미 부시(落文)’라 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후기에 낙서가 나타났는데, 일반 백성들이 돌이나 바위에 당시의 사회상을 낙서로 새겼다고 한다.
浴不必江海, 要之去垢. 馬不必騏驥, 要之善走.
목욕은 반드시 큰 강물을 찾아가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때를 씻기만 하면 되고 말은 반드시 천리마를 타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잘 달리기만 하면 된다.
선천적으로 우수(優秀)한 소질과 재능을 타고난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훌륭하게 발전(發展)시키기 위한 특수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