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유자(有子)가 말하길,

“약속을 의리(義理)에 가깝게 하면 그 약속한 말을 실천할 수 있으며, 공손(恭遜)함을 예(禮)에 가깝게 하면 치욕(恥辱)을 멀리할 수 있으며, 의지한 자가 그 친할 만한 사람을 잃지 않았다면 또한 그를 종(宗-주인主人)으로 삼을 수 있다.(信近於義면 言可復也며 恭近於禮면 遠恥辱也며 因不失其親이면 亦可宗也니라)”

하였다. – 논어.학이.13장

일곡지사란 한 부분에 치우쳐 있거나 어떤 사물의 한 구석만을 아는 사람을 말한다. 사람은 어떤 시대에 어느 곳에서 살았고, 어떤 교육을 받았는가에 영향을 받기 마련인데 장자는 그러한 경우를 우물 안의 개구리와 여름벌레와 곡사(曲士)에 비하여 말하고 있다.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하여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공간의 구속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 여름에 대해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시간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뚤어진 선비에게 도에 관해 얘기를 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가르침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曲士不可以語於道者, 束於敎也.)”

– 장자(외편) 제17편 추수

태산이 울고 움직이더니 쥐 한 마리가 나옴. 무엇을 크게 떠벌리기만 하고 실제의 결과는 작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래 : “산들이 산고(産苦) 끝에 우스꽝스러운 생쥐 한 마리를 낳았다” – 호라티우스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은 고대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Horatius Flaccus, Quintus, B.C.65~B.C.8)가 쓴 시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유자가 말하길,

“예(禮)의 용(用)은 화(和)가 귀함이 되니, 선왕(先王)의 도(道)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다. 그리하여 작은 일과 큰 일에 모두 이것을 따른 것이다. 행하지 못할 것이 있으니, 화(和)를 알아서 화(和)만 하고, 예(禮)로써 절제(節制)하지 않는다면 이 또한 행할 수 없는 것이다. ( 禮之用이 和爲貴하니 先王之道 斯爲美라 小大由之니라. 有所不行하니 知和而和요 不以禮節之면 亦不可行也니라.)”

하였다. – 논어.학이.12장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에는 그(자식)의 뜻을 관찰하고,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는 그(자식)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니, 3년 동안 아버지의 도(道-행동)를 고치지 말아야 효(孝)라 이를 수 있는 것이다.(父在에 觀其志요 父沒에 觀其行이니 三年을 無改於父之道라야 可謂孝矣니라.)”

하였다. – 논어.학이.1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