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2017, 5월 25일" 글 보관함

맹자가 말하길,

“자로는 남이 자신의 잘못을 알려주면 기뻐했으며, 우임금은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했다. 순임금은 더욱 훌륭했으니, 착한 일을 남과 더불어 하고 자기의 잘못을 버리고 남의 착한 행실을 따랐다(舍己從人). 군자에게는 남과 더불어 착한 일을 하는 것보다 더 큰 일은 없다.”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8장

맹자가 말하길,

“인(仁)이라는 것은 활을 쏘는 것과 같으니, 활을 쏘는 것은 그 몸을 바로 한 후에 쏘는 것이다. 쏘아서 맞지 않는다면 나를 이긴 자를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돌이켜 구할 뿐이다(反求諸己而已矣).”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7장

맹자가 말하길,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발단이며,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발단이며,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발단이며,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智)의 발단이니, 이 네 가지가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이것을 넓혀 확충할 수 있다면 족히 사해(四海)를 보존할 수 있지만 그럴 수 없다면 부모도 족히 섬길 수 없을 것이다.”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6장

‘惻’은 간절히 슬퍼함.
‘隱’은 깊이 아파함.
‘羞’는 자신이 선하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함.
‘惡’는 남이 선하지 못한 것을 미워함.
‘辭’는 풀어서 자기로부터 떠나게 함.
‘讓’은 밀어서 남에게 줌.
‘是’는 선(善)함을 알아 옳다고 여김.
‘非’는 악(惡)함을 알아 그르다고 여김.

春水初生乳燕飛
黃蜂小尾撲花歸
窗含遠色通書幌
漁擁香鉤近石磯
봄물 불기 시작하니 어린 제비날고,
꿀벌 작은 꼬리에 꽃가루 묻혀오네.
창문 휘장 사이 먼 경치 들어오고,
물고기 물가로 미끼 에워 몰려드네.

初生 : 물이 불기 시작함.

맹자가 말하길,

“현명한 사람을 존중하고, 능력 있는 인물을 등용하며, 백성들의 형편에 알맞게 세금을 줄이고 인정을 실행한다면 천하에 적이 없을 것이며, 천하에 적이 없는 자는 하늘이 내린 벼슬아치이다.(無賊於天下者, 天吏也)”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5장

맹자가 말하길,

“힘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것은 마음으로부터 복종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복종하게 하는 것이다. 덕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것은 마음속에서부터 기뻐 진실로 복종하는 것이다(以德服人者, 中心悅而誠服也).”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3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