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삼(參)아! 우리 도(道)는 한 가지 이치가 (만 가지 일을) 꿰뚫고 있다.(參乎아 吾道는 一以貫之니라)”
하시니, 증자께서
“예.(唯라)”
하고 대답하였다. 공자께서 나가시자, 문인(門人)들이
“무슨 말씀입니까?(何謂也잇고)”
하고 물으니, 증자께서 대답하셨다.
“부자(夫子)의 도(道)는 충(忠)과 서(恕)일 뿐이다.(夫子之道는 忠恕而已矣시니라)”
– 논어.이인.15장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삼(參)아! 우리 도(道)는 한 가지 이치가 (만 가지 일을) 꿰뚫고 있다.(參乎아 吾道는 一以貫之니라)”
하시니, 증자께서
“예.(唯라)”
하고 대답하였다. 공자께서 나가시자, 문인(門人)들이
“무슨 말씀입니까?(何謂也잇고)”
하고 물으니, 증자께서 대답하셨다.
“부자(夫子)의 도(道)는 충(忠)과 서(恕)일 뿐이다.(夫子之道는 忠恕而已矣시니라)”
– 논어.이인.15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리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리에 있을 만한가를 걱정하며, 자신을 알아주는 이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알려질 수 있게 힘써야 한다.(不患無位요 患所以立하며 不患莫己知요 求爲可知也니라)”
– 논어.이인.14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능히 예(禮)와 겸양(謙讓)으로써 한다면 나라를 다스림에 무슨 어려움이 있으며, 예(禮)와 겸양(謙讓)으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못한다면 예(禮)를 어찌하겠는가!(能以禮讓이면 爲國乎에 何有며 不能以禮讓爲國이면 如禮何오)”
– 논어.이인.13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이익(利益)에 따라 행동하면 원망(怨望)이 많다.(子曰 放於利而行이면 多怨이니라)”
– 논어.이인.12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덕(德)을 생각하고 소인(小人)은 처하는 곳을 생각하며, 군자(君子)는 형(법法)을 생각하고 소인(小人)은 은혜(恩惠)를 생각한다.(君子는 懷德하고 小人은 懷土하며 君子는 懷刑하고 小人은 懷惠니라)”
– 논어.이인.11장
유년 시절(時節)의 추억(追憶)은 아름답게 느껴진다.
음악(音樂) 시간(時間)에 전래 동요(童謠)를 배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