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가 말하길,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하.1장
맹자가 말하길,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하.1장
퇴적물(堆積物)은 오랜 시간(時間)이 지나면 암석(巖石)으로 변한다.
안녕하세요~ 홈페이지 운영자입니다.
본 홈페이지에 있는 모든 글은 학습지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한자공부하기 버튼을 누른 후 인쇄하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한자 학습지를 인쇄 하거나 pdf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는 한자 학습지 쓰기 만들기 페이지를 이용하시면 원하는 내용으로 한자 학습지를 만들어 공부 할 수 있습니다. 문의사항은 문의하기 및 자유게시판 등을 활용해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맹자가 말하길,
“백이는 바른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않았고, 악한 사람의 조정(朝廷)에 서거나 더불어 말하는 것을 마치 진흙구덩이에 앉아 있는 것처럼 여겼다. 유하혜는 악한 임금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벼슬길에 나아가서는 반드시 올바르게 일했다. 벼슬에서 쫓겨나도 원망하지 않았고, 곤궁해도 근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유하혜는 ‘너는 너고 나는 나다.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느냐?’했다. 백이는 도량(度量)이 좁고 유하혜는 공손(恭遜)하지 못한 것이니 모두 군자가 따를 바는 아니다.”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9장
이 책에는 ‘톨레랑스’라는 말이 여러 차례 나오는데, 이 말은 프랑스어로 ‘관용(寬容)의 정신’을 뜻한다. 내가 파악(把握)한 바로는 ‘관용’과 ‘배려(配慮)’의 이야기가 책 전체의 맥락(脈絡)인 것 같다.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바로 ‘나와 타인과의 차이를 인정(認定)하고, 그 차이에 대한 관용의 마음’을 가지는 것. 책을 읽으며 공감이 가는 부분도 많았고,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視角)을 가질 수 있어서 추천하고 싶은 책.
– 개인주의자선언.저자 문유석.문학동네.2015.09.23
춘추시대 진나라 문공의 망명 시절, 충신(忠臣) 개자추(介子推)는 자신의 허벅지 살을 떼어 문공의 허기를 채웠다고 한다. 이후 문공이 왕이 되었을 때, 군신들에게 토지와 작위를 하사하였는데 충신 개자추를 잊었다. 이에 크게 실망한 개자추는 노모(老母)를 모시고 산으로 들어가 은거한다. 후에 진문공이 개자추를 찾았으나, 개자추는 관직(官職)을 바라지 않는다며 산에 숨어 내려오지 않았다. 진문공은 개자추를 찾을 수가 없자 산에 불을 지르면 개자추가 어쩔 수 없이 산에서 내려오리라 생각하고 불을 질렀는데, 개자추는 노모를 끌어안고 산 속에서 한 줌의 재가 되었다. 이후 충신 개자추를 기리기 위해 이날은 불로 밥을 짓지 않고, 찬 음식을 먹게 되어 ‘한식절’이라 칭했다.
지층(地層)에 나타난 나란한 줄무늬를 층리라고 한다.
화산(火山)은 지층속의 용암(鎔巖)이 분출(噴出)하는 것이다.
풍화(風化) 작용(作用)으로 암석이 깎이다.
맹자가 말하길,
“자로는 남이 자신의 잘못을 알려주면 기뻐했으며, 우임금은 좋은 말을 들으면 절을 했다. 순임금은 더욱 훌륭했으니, 착한 일을 남과 더불어 하고 자기의 잘못을 버리고 남의 착한 행실을 따랐다(舍己從人). 군자에게는 남과 더불어 착한 일을 하는 것보다 더 큰 일은 없다.”
하였다. – 맹자.공손추장구상.8장